“생산성 떨어져도 매년 임금 자동 인상”…주요 대기업 노동자 절반 ‘호봉급’
상태바
“생산성 떨어져도 매년 임금 자동 인상”…주요 대기업 노동자 절반 ‘호봉급’
  • 이성태 기자
  • 승인 2018.05.11 08: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요 대기업 노동자의 51.2%는 호봉급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직급에 따라 임금체계를 달리 적용받는 26.9%와 달리 평사원급은 모두 호봉급, 관리자급은 주로 직능급(71.4%)을 적용받고 있었다.

11일 한국경제연구원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주요 대기업을 대상으로 ‘2018년 주요 대기업 임금체계 현황’을 설문조사(노동자 300인 이상 한정·170개사 응답)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노동자 39만8915명 중 51.2%는 기본급으로 근속연수에 따라 임금이 매년 오르는 ‘호봉급’을 적용받고 있었다.

업무 수행 능력에 따른 ‘직능급’을 받는 노동자는 36.2%, 직무 성격·난이도에 따른 ‘직무급’을 받는 노동자는 4.4%로 조사됐다.

직종별 기본급 유형으로는 사무직과 연구직에서는 ‘직능급’이 각각 61.2%, 54.0%로 가장 많았다. 반면 생산직과 판매·서비스직에서는 ‘호봉급’이 각각 84.7%, 50.0%로 가장 많았다.

▲ <자료=한국경제연구원>

또한 응답기업의 노동자 중 26.9%(10만7124명)는 평사원급에서 관리자급으로 승진하면 임금체계를 전과 달리 적용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중 평사원급(7만4338명)은 모두 호봉제를 적용받고 있었다. 관리자급(3만2786명)은 주로 직능급(71.4%)을 적용받았으며 호봉제를 적용받는 경우는 없었다.

한경연은 “호봉제는 생산성과 관련 없이 임금이 매년 오르는 문제가 있다”며 “기업들이 평사원급에는 호봉제를 적용하지만 권한과 책임이 큰 관리자급에는 직능급 등을 적용하는 것은 능력과 성과에 대해 보상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자료=한국경제연구원>

대기업 170개사 중 호봉급이 있는 곳은 119개사였다. 이들 기업은 호봉급에 따른 문제점으로 장기근속자 고용 유지 부담(42.9%), 근로자의 성과 관리 어려움(36.1%), 경기변화에 능동적 대응 어려움(11.8%) 순으로 응답했다.

그럼에도 호봉급 체제를 현재까지 유지하는 이유로는 기존 관행상(39.5%), 노조의 호봉급 폐지 반대(31.1%) 순으로 나타났다. 호봉급의 대표적 장점으로 꼽는 ‘근로자의 장기근속 유도’는 10.1%에 그쳤다.

▲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주요 대기업의 50.6%는 현행 임금체계의 최대 문제점으로 ‘성과가 달라도 보상수준이 비슷해 무임승차자 발생’을 꼽았다. 이에 따라 올해 임금체계 관련 중점 추진 사항으로 58.8%가 ‘성과 중심의 보상체계 확대’라고 응답했다.

주요 대기업은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임금체계가 나아갈 방향으로 사무직과 연구직에서 직무급(모두 54.1%)을, 생산직과 판매서비스직에서 직능급(각각 39.4%, 42.4%)을 가장 많이 꼽았다.

호봉급은 현재 주요 대기업 근로자의 약 절반이 적용받지만 모든 직종에서 가장 적게 선호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주요 기업은 정부가 임금체계 관련 중점 추진할 사항으로 ‘공공부문 임금체계의 선도적 개편(34.1%)’을 꼽았다. 한경연은 정부의 공공부문 표준임금 모델안이 호봉제 중심 체계를 직무급 중심으로 바꾸는 내용을 포함한 점을 언급하며 “기업들이 정부의 선도적 역할에 대한 기대가 큰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일자리전략실장은 “해외 유수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능력·직무, 성과 중심의 임금체계로 전환해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