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급·호칭파괴 제도 실효성 낮아…조직문화 개선 어려워”
상태바
“직급·호칭파괴 제도 실효성 낮아…조직문화 개선 어려워”
  • 심양우 기자
  • 승인 2018.05.16 12: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평적 조직문화를 위해 호칭파괴 제도가 확산되고 있는 추세지만 실효성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6일 사람인에 따르면 기업 962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호칭파괴 제도를 도입한 기업은 11.6%에 불과했고 도입하지 않거나 직급 체계로 다시 회귀한 기업은 88.3%였다.

도입하지 않는 이유는 호칭만으로 상명하복 조직문화 개선이 어려워서(37.3%·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불명확한 책임소재로 업무상 비효율적(30.3%), 승진 등 직원들의 성취동기가 사라짐(15.6%), 조직력을 발휘하는데 걸림돌(13.4%), 신속한 의사결정이 오히려 힘듦(12.2%) 등이 뒤를 이었다.

호칭파괴 제도를 도입한 기업의 도입 이유는 수평적 조직문화로 개선(53.6%·복수응답)을 최우선으로 꼽았다.

계속해서 유연한 분위기 조성으로 창의성 강화(45.7%),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통한 업무 효율성 제고(41.4%), 동등한 커뮤니케이션으로 부서 간 협업 강화(23.6%), 연공서열보다 능력 중시 문화 조성(21.4%) 등의 의견이 이어졌다.

호칭파괴 제도를 도입한 기업 분야를 살펴보면 자율적 분위기와 창의성을 중시하는 IT 기업(23.2%)이 가장 많았고 제조업(17.9%), 유통·무역(12.5%), 식음료·외식(7.1%) 등의 순이었다.

한편 응답한 기업의 65.4%는 호칭파괴 제도가 효용성이 낮다고 보고 있었다. 실제로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기업(112개사)의 25%도 실효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었으며 도입하지 않은 기업(822개사)의 83.3%는 향후에도 도입 의사가 없었다.

임민욱 사람인 팀장은 “직급 호칭파괴는 하나의 수단일 뿐”이라며 “창조적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조직의 의사결정 시스템을 정비하고 그에 맞는 평가와 보상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