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근로자 호봉급 63.4%…사무직은 직능급 많아
상태바
대기업 근로자 호봉급 63.4%…사무직은 직능급 많아
  • 이성태 기자
  • 승인 2019.08.21 15: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요 대기업 근로자의 63.4%는 근속연수에 따라 임금이 매년 오르는 호봉급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주요 대기업 10곳 중 8곳은 올해 1월 최저임금 시행령 개정으로 인해 임금체계를 개편했거나 임금체계 개편을 추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대기업 근로자 중 63.4%는 근속연수에 따라 기본급이 결정되는 호봉급을 받았다.

직무 성격과 난이도에 따른 직무급을 받는 근로자는 18.5%, 근로자의 능력, 숙련 정도 등에 따른 직능급을 받는 근로자는 16.4%였다.

기본급 유형은 직종별로 차이가 있었다. 사무직 근로자는 직능급, 연구·기술직 근로자는 직무급이 가장 많았고 생산직과 판매·서비스직 근로자는 호봉급을 적용받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구체적으로 사무직은 직능급 40.5%, 호봉급 38.4%, 직무급 20.9% 순이었고 연구·기술직은 직무급 49.6%, 호봉급 31.8%, 직능급 18.4% 순으로 조사됐다.

반면 생산직은 호봉급이 95.1%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판매·서비스직은 호봉급 65.5%, 직무급 18.3%, 직능급 6.8% 순이었다.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자료=한국경제연구원]

호봉급은 호봉·근속·연령에 따라 임금이 결정되며 직무급은 직무의 난이도, 업무강도, 책임의 정도, 요구되는 기술 등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직능급은 훈련이수, 자격 취득 등 근로자의 직무능력과 숙련정도에 따라 임금이 결정된다.

임금체계를 기업별로 보면 응답기업 120곳 중 단일한 임금체계를 도입한 곳은 57.5%였고 2개의 임금체계는 39.2%, 3개의 임금체계는 3.3%로 나타났다.

단일 임금체계로 호봉급만 운영하고 있는 곳이 전체 응답기업 중 42.5%로 가장 많았고 호봉급과 직능급 2개 임금체계를 사용하는 기업은 22.5%였다. 직능급만 도입 중인 곳과 호봉급·직무급 2개를 도입한 곳은 각각 8.3%로 동일하게 조사됐고 직무급만 도입한 곳은 5.9%였다.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작년 말 고용노동부는 최저임금 적용기준 시간 수에 소정 근로시간 외에 법정 주휴시간을 포함하도록 최저임금법 시행령을 개정했다. 시행령 개정으로 응답기업의 79.2%가 임금체계를 개편(63.4%)했거나 개편을 위한 노사 협의 또는 검토(15.8%)를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행령이 개정되기 전에 개편한 곳은 전체 응답 기업의 44.2%였고 시행령이 개정된 후 개편을 완료한 곳은 19.2%였다.

최저임금 시행령과 관련 있는 기업들은 최저임금 위반 해소를 위한 임금체계 개편이 통상임금 확대로 이어져 인건비 부담 가중(50.5%), 상여금 지급주기 변경 등 임금체계 개편에 대한 노조의 반대(18.6%) 순으로 애로사항을 꼽았다.

한경연은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에 최저임금 기준시간 수를 확대하도록 시행령이 개정되면서 일부 고임금·대기업 근로자도 최저임금에 미달하는 사례가 발생했다”면서 “최저임금 위반을 피하려면 격월이나 분기로 지급되는 정기상여금을 매월 지급되도록 변경해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노조가 매월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기업들의 인건비 부담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주요 대기업 중 67.5%는 올해 임금체계와 관련해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항으로 ‘성과 중심 보상체계 확대’를 꼽았다. 다음으로 임금 연공성 완화(23.3%), 임금 구성 항목 간 통폐합·간소화(23.3%), 업무의 중요성·난이도를 임금에 반영(22.5%)이 동일하거나 비슷하게 나왔고 상여급 지급주기 분할(15.8%)을 꼽은 기업도 있었다.

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일자리전략실장은 “고임금인 대기업마저 최저임금 때문에 임금체계를 개편했거나 개편을 검토 중이며, 그 과정에서 절반이 넘는 기업들이 인건비 부담을 느끼는 실정”이라며 “호봉급 위주의 임금체계에서 생산성에 기반한 직무·직능급 위주로 개편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