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등학생 10명 중 9명, B2C·C2C서 소비자보호 수준 차이 구분 못해
상태바
중·고등학생 10명 중 9명, B2C·C2C서 소비자보호 수준 차이 구분 못해
  • 이성태 기자
  • 승인 2022.03.21 09: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소년의 인터넷쇼핑 이용이 늘고 있지만 일반거래와 디지털 거래 등 거래 관련 지식은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중·고등학생 1000명을 대상으로 일반거래, 디지털거래, 소비자재무, 소비생활안전, 소비자시민의 5개 주요 소비생활 영역에 대한 지식수준을 조사한 결과 전체 평균 점수는 55.5점이었다.

그러나 디지털거래는 49.4점, 일반거래는 48.8점으로 전체 평균보다 6점 이상 낮아 소비생활 영역 중 거래에 필요한 지식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또한 디지털거래와 일반거래 영역의 중·고등학생 간 지식수준의 격차가 각각 5.6점과 5.5점으로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5점 이상 낮았다.

일반거래는 거래 일반에서의 구매의사결정, 청약철회, 소비자정보 제공, 소비자상담 등을 말하며 디지털거래는 비대면·온라인 등 디지털거래에서의 소비자권리, 정보 활용, 개인정보관리, 디지털 콘텐츠 소비 등을 말한다.

[자료=한국소비자원]
[자료=한국소비자원]

디지털거래의 문항 중 온라인 중고거래 등 개인간 전자상거래(C2C)에서 소비자문제가 발생할 경우 사업자와의 전자상거래(B2C)와 같은 수준의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답률은 11.8%로 중․고등학생 10명 중 9명은 B2C와 C2C 전자상거래 간 소비자보호 수준의 차이를 잘 모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SNS 마켓 공동구매 상품 등의 청약철회 가능 여부와 안전한 온라인 거래를 돕는 에스크로 제도의 기능에 대한 정답률은 각각 23.9%, 32.3%에 그쳤다. 청소년의 전자상거래 이용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에도 관련 소비자 문제의 예방과 대응에 필요한 지식은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료=한국소비자원]
[자료=한국소비자원]

일반거래의 문항 중에서 소비자불만 발생 시 이용 가능한 소비자상담센터 전화번호(1372)와 정부가 운영하는 소비자24 웹사이트의 비교정보 제공 기능을 알지 못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60% 이상이었다.

또한 모든 제품의 표시정보를 정부나 공공기관이 승인·허가하고 있지는 않다는 사실을 정확히 알고 있는 응답자는 5.4%로 일반거래 영역 17개 문항 중 정답률이 가장 낮아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과 문제 해결 등을 돕는 지원 제도에 관한 중․고등학생의 인지도가 개선될 필요가 있다.

한편 중․고등학생의 78.6%는 학교·가정 등에서 소비자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교육 경험자와 비경험자 간 지식수준의 차이는 디지털거래 영역 7.0점(경험자 50.9점·비경험자 43.9점), 일반거래 영역 6.8점(경험자 50.3점·비경험자 43.5점)으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중학생의 경우 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소비자지식 수준 차이가 10점 이상으로 두 집단 간의 차이가 5점 이하인 고등학생보다 큰 격차를 보이고 있어 이른 청소년기부터 소비자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학교 소비자교육 추진과 교육 콘텐츠 개발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청소년의 소비자역량 수준을 객관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조사체계를 구축해 청소년 대상 소비자정책 수립·추진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