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4명 하반기 집값 하락 전망…전셋값은 상승
상태바
국민 10명 중 4명 하반기 집값 하락 전망…전셋값은 상승
  • 김윤태 기자
  • 승인 2022.06.30 11: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민 10명 중 4명은 하반기 집값 하락을 전망했다. 반면 전셋값은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부동산R114은 지난 7~20일 전국 2275명을 대상으로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10명 중 4명이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2019년 상반기 조사 이후 약 3년 만에 하락 전망이 상승 전망을 앞지른 결과다.

직전(6개월 전) 조사 결과와 비교해도 상승 응답 비중은 절반(48%→24%)로 축소됐고 하락 응답은 2.7배(14%→38%)로 커졌다.

보합 전망은 37.49%로 직전 조사(37.53%)와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상승과 하락 사이에서 소비자들의 관점 이동이 진행됐다고 해석되는 부분이다.

한편 전세가격 전망은 여전히 상승(40.00%)에 대한 전망이 하락(22.81%)보다 우세했다. 다만 직전 조사에서 상승 전망이 62.32%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상승 전망에 대한 선택 비중이 다소 줄었다.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의 34.56%는 경기침체 가능성을, 33.76%는 대출금리 인상 가능성을 주요 이유로 선택했다. 물가가 급격히 오르는 가운데 경제성장률이 둔화되고 소비 여력이 줄어드는 등 과거보다 경기 침체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다. 여기에 고공 행진하는 물가를 잡기 위한 중앙은행의 금리인상이 빨라지는 등 이자 부담이 수요자 이탈을 불러오는 모양새다.

이어 대출 규제로 매수세 약화(11.75%) 응답 비중도 뒤를 이었다.

그외 하락 요인으로는 가격부담에 따른 거래량 부족(10.83%), 사전청약과 공공주택 공급 기대(3.00%), 임대사업자·다주택자 매물 증가(2.88%) 등이 있었다.

상승에 대한 응답은 서울 등 중심지 아파트가격 상승(27.80%)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실제 정부와 서울시가 추진하는 정비사업 활성화 기대감으로 상반기 서울 용산과 강남·서초 등에서 견고한 가격 흐름을 나타냈다.

다음으로는 덜오른 지역에 대한 풍선효과(14.62%) 응답이 높았다. 올해 경기도 이천과 강원·제주 등 비규제지역들을 중심으로 매매가격이 오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그외 상승 원인으로는 아파트 분양시장 활성화(12.45%), 전세가격 상승에 따른 매매가 상승(11.91%),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활성화(11.55%) 등이 선택됐다.

전세가격이 오른다고 답한 910명 중 42.20%는 매수심리 위축으로 전세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가격 부담과 금리 인상, 대출규제 등으로 위축된 매수심리가 상대적으로 전세시장 수요를 늘려 가격 불안감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다.

다음으로는 임대인의 월세 선호로 전세 공급 부족(18.90%) 응답이 높았다. 실제 세금과 대출이자, 물가상승 등 다주택자 유지 비용이 과거보다 커지면서 전세물건은 줄고 월세거래가 늘고 있다.

그외 상승요인으로는 임대차3법 시행 영향(13.52%), 서울 등 일부 인기지역 입주물량 부족(12.31%), 청약(사전청약)을 위한 일시적 전세 거주 증가(11.87%) 순으로 나타났다.

전세가격 하락 전망을 선택한 경우는 최근 2~3년 전세가격 급등 영향(28.71%)을 주요 이유로 체크했다. 최근 2~3년 사이 전국 전세가격이 20~30% 급등하면서 수요자의 가격부담감에 따른 하향 조정을 예상하는 분위기다.

다음으로는 기존주택 매매전환으로 전세수요 감소(22.54%), 갭투자 영향으로 전세 매물 증가(18.88%), 정부의 임대차 시장 안정대책 효과(17.15%), 임대인의 임차보증금 반환 리스크(11.75%) 등이 전세가격 하락 이유로 선택됐다.

소비자 10명 중 4명은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가 인상 여부(20.66%)와 국내외 경기회복 속도 등 대외 경제여건(20.04%)을 올해 하반기 시장의 핵심 변수로 선택했다.

미국 기준금리의 빅스텝(0.75%포인트 인상)과 한국은행의 꾸준한 금리인상이 예고된 상황으로 대출 이자 상환 부담은 더 커질 전망이다. 여기에 인플레이션에 따른 경제 성장 둔화와 대외 경제여건도 불확실성이 상당하다.

그외 하반기 주요 변수로는 대출·세금 등 부동산 규제 지속 여부(17.23%), 물가상승(인플레이션)(10.90%), 민간소비 등 국내 실물 경기지표 변화(10.33%), 3기 신도시 등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8.00%), 전세가격 불안흐름 지속 여부(7.21%) 등을 선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