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생태원 야외 전시구역에 산지습지 조성…반딧불이 등 생태 탐구
상태바
국립생태원 야외 전시구역에 산지습지 조성…반딧불이 등 생태 탐구
  • 이성태 기자
  • 승인 2022.10.21 09: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립생태원 야외 전시구역 한반도숲에 조성된 산지습지 전시원. [국립생태원 제공]
국립생태원 야외 전시구역 한반도숲에 조성된 산지습지 전시원. [국립생태원 제공]

환경부 국립생태원은 충남 서천군 원내 야외 전시구역 한반도숲에 산지습지 전시원을 조성하고 오는 22일부터 11월20일까지 운영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산지습지 전시원은 올해 6월부터 최근까지 약 1000㎡ 규모로 조성됐다.

습지에 주로 서식하는 제비동자꽃, 조름나물, 독미나리 등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을 비롯해 비늘고사리 등 양치식물 30여종과 털깃털이끼 등 선태류 10여종을 심는 등 환경 지표종인 반딧불이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으로 꾸며졌다.

산지습지는 산속이나 숲에 있는 내륙습지 중 하나로 육상과 수상 생태계의 중간 특성을 지닌 특이한 야생생물 서식처다.

우리나라 내륙습지는 국토 면적의 약 1%이지만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약 40%가 사는 생물다양성의 보고이기도 하다.

특히 일부 산지습지에는 오랜 기간 죽은 식물들이 쌓여 만들어진 이탄층이 있으며, 이러한 이탄층은 전 세계적으로 연간 3억700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거나 저장한다고 알려져 있어 탄소 저장원으로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국내 주요 산지습지로는 제주 1100고지 습지, 물장오리오름, 숨은물뱅듸, 대암산 용늪, 무제치늪, 화엄늪 등 11곳이 있다.

국립생태원은 이번 전시를 통해 관람객들이 생물다양성의 보고인 산지습지의 중요성을 체험해보고 학습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북방계 습지식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독미나리와 조름나물을 전시해 소수 개체만 제한적으로 남아 있는 이들 식물이 기후변화와 서식지 감소 등의 이유로 멸종위기에 처한 현실을 알려준다.

뿌리·줄기·잎 등 기관의 분화가 뚜렷하지 않아 온몸으로 공기와 탄소를 흡수해 공기정화와 탄소 흡수 능력이 탁월한 다양한 종류의 선태식물도 전시하고 이끼를 가지고 공을 만들어보는 체험 과정도 운영한다.

또한 반딧불이의 생태를 쉽게 이해하고 탐구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된다. 반딧불이는 깨끗한 계곡이나 습지 인근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환경 지표종 곤충으로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으로 점차 사라지고 있으며 전 세계에 2100여 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반딧불이로는 늦반딧불이, 애반딧불이, 운문산반딧불이 3종이 있으며 국립생태원 부지를 포함한 충남 서천군 일대에는 애반딧불이와 늦반딧불이가 서식한다.

국립생태원은 이번 산지습지 전시원에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반딧불이 3종의 번데기, 유충, 성충, 주요 먹이 등을 모형으로 제작해 전시했다.

조도순 국립생태원장은 “이번 전시를 통해 산지습지에 대한 중요성을 알리고 관람객들에게 다양한 습지식물의 생태적 특성을 알려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