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6명 “내년 집값 하락”…하락 전망 역대급
상태바
10명 중 6명 “내년 집값 하락”…하락 전망 역대급
  • 김윤태 기자
  • 승인 2022.11.17 13: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택 매매 가격 하락 전망이 역대급으로 나타났다.

17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 10월31일부터 11월14일까지 전국 1738명으로 대상으로 ‘2023년 상반기 주택 시장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10명 중 6명이 집값 하락을 전망했다.

이는 2008년부터 약 15년 동안 관련 조사를 진행한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전년 동기나 직전 조사 결과와 비교해도 상승 응답 비중이 48%→24%→12%로 급격하게 줄었고 하락 응답은 전년 동기 대비 4배 이상(14%→38%→65%) 커졌다.

보합 전망은 22.73%로 상승 응답과 같이 직전 조사(37.49%)보다 크게 줄었다. 상승과 보합에서 하락에 대한 전망으로 소비자 관점이 이동했다고 해석되는 부분이다.

전세가격 전망의 경우도 하락(41.66%) 전망이 상승(20.71%)보다 우세했다. 다만 보합 전망에 대한 비중이 37.63% 수준으로 임대차 시장에 대한 소비자 가격 전망은 관점이 상대적으로 팽팽하게 맞서고 있었다.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의 32.39%는 경기침체 가능성을, 30.81%는 대출금리 인상 가능성을 주요 이유로 선택했다. 소비 감소와 수출 부진으로 경제성장률이 둔화되는 등 과거보다 경기 침체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다. 여기에 고공행진하는 물가를 잡기 위해 한국은행의 금링니상이 빨라지는 등 대출이자 부담이 주택 수요 이탈을 불러오고 있다.

이어 대출규제로 매수세 약화(12.41%) 응답 비중이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 외 하락요인으로는 이자·세금 부담으로 매도물량 증가(11.71%), 가격 부담에 다른 거래 실종(9.24%) 등이 뒤를 이었다.

매매가격 상승에 대한 응답도 금리와의 연관성이 높았다. 급격한 기준 금리 인상 기조 변화(29.95%)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물가의 피크아웃(고점)이 설득력을 얻으면서 중앙은행이 금리 인사에 대한 속도조절에 나설 가능성도 높아졌기 때문이다.

다음으로는 핵심지역 고가아파트 가격 상승(28.50%) 응답이 높았다. 정부와 서울시가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등 정비사업 규제를 대거 완화하면서 서울 주요 지역에 포진한 노후 아파트의 재정비 가느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그 외 급매물 위주로 실수요층 유입(9.66%),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활성화(8.70%), 정부 규제 완화 전망(8.21%) 등이 선택됐다.

전세가격 하락 전망을 선택한 경우는 임대인의 임차보증금 반환 리스크(23.76%)를 주요 이슈로 꼽았다. 최근 빌라 등 비아파트 주택에서 깡통전세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신축 입주물량이 많은 지역은 역전세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또한 전세대출 이자부담으로 월세시장 이탈(19.61%) 답변도 높았다. 평균적인 전월세전환율 고려 시 전세대출 이자 대비 월셋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는 갭투자 영향으로 전세 매물 증가(18.37%), 최근 2~3년 전세가격 급등 부담감(14.92%) 등이 전세가격 하락 이유로 선택됐다.

전세가격이 오른다고 답한 360명 중 42.78%는 매수심리 위축으로 전세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가격 부담과 금리 인상, 대출 규제 등으로 위축된 매수심리가 상대적으로 전세시장 수요를 늘려 가격 불안감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다.

다음으로는 임대인의 월세 선호로 전세 공급 부족(19.17%) 응답이 높았다. 세금 부담과 대출 이자, 물가 상승 등 다주택 유지 비용이 과거보다 커지면서 전세물건을 줄고 월세거래가 늘고 있다.

그 외 상승요인으로는 월세가격 오름세에 전세가 상승 압력(11.94%), 청약(사전청약)을 위한 일시적 전세 거주 증가(8.89%), 서울 등 일부 인기지역 입주물량 부족(8.89%)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비자 10명 중 4명은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가 인상 여부(23.53%)와 국내외 경기회복 속도 등 대외 경제여건(21.63%)을 내년 상반기 핵심 변수도 선택했다.

그 외 하반기 주요 변수로는 대출·세금 등 부동산 규제 변화 여부(15.94%), 민간소비 등 국내 실물 경기지표 변화(9.61%), 물가상승(인플레이션)(9.49%), 전월세가격 등 임대차 시장 불안 지속 여부(8.00%) 등을 선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