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 해킹 피해…자동차 24조원, 스마트폰 16조원
상태바
사물인터넷 해킹 피해…자동차 24조원, 스마트폰 16조원
  • 이성태 기자
  • 승인 2014.04.21 09: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물인터넷의 확산으로 다양한 기기들이 인터넷을 통해 서로 연결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보안사고 관련 피해 연간 규모는 자동차 24조원 이상, 스마트폰 16조원으로 추정됐다.

21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사물인터넷 시대의 안전망, 융합보안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해킹으로 인한 보안위협은 더 이상 가상의 사이버 환경에 국한되지 않고 실제 우리 생활로 다가오고 있다.

융합보안산업은 정보보안과 물리보안 간의 융합 혹은 보안기술이 IT융합산업에 적용돼 창출되는 제품 및 서비스를 말한다.

국내 융합보안 피해는 기존 연구에 기반해 GDP의 1% 규모로 추정했을 때 2015년 13조4000억원, 2020년 17조7000억원, 2030년 26조7000억원 정도로 예상된다.

국가 신용도 하락, 2차 피해 등을 고려하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산업연구원은 분석했다.

융합보안사고는 제조업, 서비스업, 국가기반시설 등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제조업에서 보안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제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수요를 감소시킬 우려가 있다.

만약 스마트카에서 보안사고가 발생해 국산 자동차의 최종수요가 10% 감소한다면 연간 약 24조원 이상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조사됐다.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피해액이 약 16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 융합보안피해 유형 <자료=산업연구원>
서비스산업에서 보안사고가 발생한다면 해당부문을 일정 기간 서비스가 불가능한 상태로 만들고 다른 산업부문에도 간접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만일 금융기관에 대한 보안공격으로 인해 금융산업에서 1%의 지장을 받게 된다면 금융산업 자체에 1조7000억원 이상의 피해가 예상되고 전 산업에 걸쳐 간접적으로 6000억원 이상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산업연구원은 전망했다.

통신, 교통, 전력망 등의 국가기간시설에서 보안사고가 발생한다면 큰 경제적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인터넷망에 1%의 작동불가 상태가 발생하면 전 산업에 걸쳐 약 1조4000억원에 육박하는 생산차질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됐다.

선진국의 경우 지식정보보안 관련 규제와 지원을 위한 통합적인 조직체계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정보보안의 관리·감독 체계는 분야별로 분산돼 있어 국가 차원의 복합적인 보안사고 발생 시에는 기관 간의 정책 혼선이 우려된다.

예를 들어 사이버보안을 위해 국가·공공 분야는 국가정보원의 국가사이버안전센터, 민간분야는 방송통신위원회의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사고대응센터, 국방분야는 국군사이버사령부에서 각각 분야별 임무를 분담하고 있다.

이에 비해 선진국의 경우 지식정보보안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전략적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정보보호 인력약성을 위해 체계적인 지원을 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보안사고 발생 후 일시적인 피해수습에 그치고 있다고 산업연구원은 지적했다.

황원식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향후 보안피해는 국가 차원에서 전방위적으로 확산될 수 있어 방재·안전시스템과 유기적으로 결합해 사고피해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관설립이 시급하다”면서 “융합보안산업을 육성하려면 국내 IT산업 인프라를 기반으로 산업 간 협업이 필요하고 국제표준을 선도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