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관피아 해프닝…“한계 드러낸 권력바라기”
상태바
포스코 관피아 해프닝…“한계 드러낸 권력바라기”
  • 한정곤 기자
  • 승인 2014.06.05 09: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압력 아닌 포스코 자체 채용…‘외풍’ 호소하며 줄대기 해석

▲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원내는 권오준 회장)
포스코가 산업통상자원부 국장 출신의 관료를 채용하려다 말썽이 일자 이를 백지화하는 해프닝이 있었다.

포스코는 적임자라며 채용절차를 밟고 정부는 취업을 승인하는 모양새를 취했지만 세월호 참사로 사회적 질타의 대상이 된 관피아(관료+마피아의 합성어)에 대한 비난여론을 넘지 못했다.

정부는 지난달 28일 관피아 척결 대책으로 공직자윤리법 개정안을 입법예고하면서 국장급 이상 퇴직 공무원의 직무관련성 판단 기준을 강화했다.

아직 법이 통과된 것은 아니지만 개정안이 입법예고된지 불과 일주일 만에 오해의 소지가 있는 퇴직관료의 취업을 승인했다는 점에서 관피아 척결 의지는 무색하게 됐다.

특히 이번 관피아 논란에서 포스코가 먼저 채용절차를 진행했다는 점은 충격적이다.

포스코는 정부가 출자한 공공기관도 아니고 관피아가 대거 포진한 협회나 단체는 더더욱 아니다. 이미 14년 전인 2000년 10월 공기업에서 민영기업으로 전환했다.

그러나 민영기업 전환 이후 지금까지도 포스코는 여전히 정체성 논란에서 혼란을 겪고 있다.

설립자인 고 박태준 명예회장이 정치권에 발을 들인 이후 김영삼 정부 시절부터 5년을 주기로 되풀이되고 있는 정권교체와 회장 교체의 짝 맞추기는 벌써 20년째다.

1992년 10월 취임한 황경로 회장이 1993년 3월 김영삼 정부 출범과 함께 낙마한 것을 시작으로 정명식·김만제·유상부·이구택·정준양 등 모두 정권의 직·간접적인 압력과 지원으로 퇴진과 취임을 반복했다.

지난 3월 취임한 권오준 회장 이 같은 악순환에서 자유롭지 않다. 권 회장 취임은 박근혜 정부 출범과 시기를 같이하고 있다. 정준양 전 회장의 반강제적 퇴진이 가져온 결과이기 때문이다.

포스코는 정권에 따라 회장 퇴진과 취임이 반복됐던 지난 20년 동안 ‘외풍’을 외쳤다. 정권 입맛에 따른 민영기업의 경영불안도 호소했다. 여론도 이 같은 포스코의 호소에 대체적으로 호응을 했다.

그러나 이번 관피아 채용논란은 그동안 포스코에 대한 시각을 바꿔놓았다. 권력의 강요가 아니라 포스코 스스로 퇴직관료를 채용함으로써 권력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려 했다는 해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것이다.

재계에서도 전형적인 해바라기성 채용시도로 보고 있다. 정권의 비위를 맞추고 자리를 보전하려 한다는 오해의 소지가 다분하다는 설명이다.

특히 역대 포스코 회장 가운데 유일하게 국립묘지를 찾아 박정희 전 대통령 묘소에 참배까지 한 권오준 회장의 취임 직후 행보도 이 같은 해석에 설득력을 더하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포스코는 다른 기업과 달리 태생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면서 “사회적 분위기와 배치되는 관피아 채용 해프닝은 취임 100일을 앞두고 있는 권오준 회장에게 적잖은 부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