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시형생활주택 ‘애물단지’ 전락…인허가도 급감
상태바
서울 도시형생활주택 ‘애물단지’ 전락…인허가도 급감
  • 조선희 기자
  • 승인 2014.07.07 14: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주택가에 건립되고 주차장이 협소한 도시형생활주택 건축 사례 <부동산114 제공>

지난해 서울 도시형생활주택 인허가가 급감하면서 애물단지로 전락할 위기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9~2013년 5년 동안 서울에서 인허가된 도시형생활주택은 총 9만3138가구로 구별 재고물량 부담이 상당해 주택시장 공급부담도 가중될 전망이다.

늘어나는 1~2인 가구에 대응한다며 2009년 도입된 도시형생활주택은 MB정부에서 각종 인센티브를 부여하며 부동산시장에 입성했다.

하지만 열악한 주거환경으로 수요자에게 외면받으면서 이제는 존립조차 위태로워진 것이다.

7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서 인허가 받은 도시형생활주택은 2만1044가구로 2012년 3만6476가구보다 42% 급감했다. 이는 2011년의 2만7464가구보다 적은 수준으로 올해 인허가물량은 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인허가 물량이 급격히 줄어든 것은 지나친 규제완화로 주거환경이 아파트나 오피스텔보다 크게 열악하기 때문이다.

정부가 도시형생활주택의 주 수요층으로 기대했던 1~2인 가구조차 열악한 환경에 선뜻 분양에 나서지 않은 것이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 동안 서울에서 인허가 받는 도시형생활주택 총 9만3138가구 가운데 가장 많은 물량(비중)이 집중된 구는 강서구로 6924가구(7.43%)를 보유하고 있다.

이어 영등포(5462가구), 마포(4938가구), 구로(4860가구), 송파(4843가구), 관악(4828가구), 강동(4764가구) 순으로 인허가 물량이 많았다.

통상 도시형생활주택의 인허가 이후 준공에서 입주까지 2년의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서울 구별 재고물량에 대한 부담도 커질 전망이다.

도시형생활주택과 경쟁관계에 있는 오피스텔도 초과공급에 대한 부작용으로 임대수익률과 매매가격이 동반 하락하는 추세에 있어 우려감은 더 높아지고 있다.

특히 도시형생활주택은 30가구 미만의 소규모 단지가 대부분으로 국토교통부가 공개하는 미분양 통계에 반영되지 못해 미분양 현황 파악도 어렵다.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윤지해 선임연구원은 “올해부터 내년까지 9만여 가구의 도시형생활주택이 모두 입주하고 나면 기존 주택시장의 회복세에도 찬물을 끼얹을 수도 있는 수준”이라며 “도시형생활주택 재고가 상대적으로 많은 지역에 대해서는 조심스런 접근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