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심을 없애기는 쉽지만 명예를 끊기는 어렵다”
상태바
“욕심을 없애기는 쉽지만 명예를 끊기는 어렵다”
  • 한정주 기자
  • 승인 2018.05.31 08: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명심보감 인문학] 제5강 정기편(正己篇)…몸을 바르게 하라⑧

[명심보감 인문학] 제5강 정기편(正己篇)…몸을 바르게 하라⑧

[한정주=역사평론가] 景行錄曰(경행록왈) 保生者(보생자)는 과욕(寡慾)하고 保身者(보신자)는 避名(피명)이니 無慾(무욕)은 易(이)나 無名(무명)은 難(난)이니라.

(『경행록』에서 말하였다. “삶을 보전하려는 사람은 욕심을 적게 하고 몸을 보전하려는 사람은 명예를 피한다. 욕심을 없애는 것은 쉬운 일이지만 명예를 피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인간의 욕망과 욕심의 종류는 헤아릴 수 없이 많지만 그 중 대표적인 것 세 가지를 꼽으라면 아마도 ‘재물욕’과 ‘권력욕’과 ‘명예욕’이 아닐까? 그렇다면 이 세 가지 욕망 중에서 가장 끊기 어려운 것은 무엇일까?

재물욕은 강한 반면 권력욕은 약하고, 권력욕은 강한 반면 재물욕은 약하고, 재물욕과 권력욕은 강한 반면 명예욕은 약하고, 명예욕은 강한 반면 재물욕과 권력욕은 약한 사람 등 제각각 차이가 있겠지만 여기 『명심보감』에서는 ‘명예욕’을 가장 끊기 어려운 욕망으로 보고 있다.

실제 재물과 권력은 자기 밖에 존재하는 외물(外物)이어서 잃어버리거나 놓아버리면 자기를 떠나게 된다. 다시 말해 재물과 권력이라는 것은 갖고 싶다고 해서 가질 수 없는 것이기도 하지만 버리고 싶으면 언제든지 버릴 수 있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명예라는 것은 자기 마음속에 존재하는 것이어서 스스로 마음을 다스리지 않는 한 잃어버릴 수도 없고 또한 놓아버릴 수도 없다. 재물과 권력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끈질기게 사람의 마음속에 자리 잡고 있는 욕망이 바로 명예욕이라는 얘기이다.

이러한 까닭에 역사에서는 자신이 갖고 있었던 재물과 권력을 미련 없이 버리고 산림에 은둔한 절의지사(節義志士)나 기인(奇人)들 가운데에서 끝내 명예욕만은 버리지 못한 이들을 수도 없이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조금 냉혹한 평가이기는 하지만 이들이 세속의 욕망을 버리고 은둔해 살면서도 쉬지 않고 글을 남긴 까닭 역시 후대에 자신의 이름을 남기려고 한 명예욕의 발로였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이러한 까닭에서 일까? 『명심보감』과 함께 오늘날까지 사람들 사이에서 가장 널리 읽히고 있는 격언집인 『채근담』에서도 ‘이익을 좋아하는 사람’보다 ‘명예를 좋아하는 사람’의 해악(害惡)이 훨씬 더 크다고 지적했다.

“이익을 좋아하는 사람은 도리와 의리의 밖으로 멀찌감치 벗어나 있기 때문에 그 해악이 드러나지만 심각하지는 않다. 명예를 좋아하는 사람은 도리와 의리의 안으로 들어가 숨기 때문에 그 해악이 감춰져서 더욱 심각하다.”

그래서 공자는 세상을 해치는 도적으로 ‘향원(鄕原)’보다 더 큰 도적은 없다고 말했다. ‘향원’이란 겉으로는 도리와 의리를 앞세워 세상 사람들에게 군자라고 존경받지만 실제 그 마음속은 비루하고 천박한 욕심으로 가득 차 있는 사람을 말한다. 이른바 세상에서 말하는 ‘위선 군자’ 혹은 ‘사이비 군자’이다.

드러내놓고 이익을 말하는 사람은 쉽게 알아볼 수 있지만 겉으로는 도리와 의리를 말하면서 속으로는 이익을 좇는 사람은 쉽게 알아볼 수 없다는 점에서 이들이야말로 세상을 해치는 가장 큰 도적이라는 뜻이다.

참고로 “鄕原(향원)은 德之賊也(덕지적야)니라”, 곧 “향원은 덕을 해치는 도적이다”는 공자의 말은 『논어』 〈양화(陽貨)〉편에 나온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