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월당(梅月堂) 김시습① 천재에서 광인(狂人)으로 바뀐 삶
상태바
매월당(梅月堂) 김시습① 천재에서 광인(狂人)으로 바뀐 삶
  • 한정주 역사평론가
  • 승인 2014.08.20 16: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호(號), 조선선비의 자존심⑬

 

▲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의 초상.

김시습은 천재(天才)였다. 조선의 선비들 중에는 수많은 천재가 있었지만 김시습은 천재가 인정하는 유일한 천재(天才)였다.

무슨 말인가 하면 아홉 번이나 과거시험에서 장원을 차지했다고 해서 ‘구도장원공(九度壯元公)’이라고 불렸던 천재 율곡 이이가 천재라는 기록을 남긴 유일한 인물이 김시습이라는 이야기다.

율곡은 ‘시습(時習)’이라는 이름 역시 김시습의 타고난 천재성에서 비롯됐다고 적었다.

“(김시습은) 태어날 때부터 천품(天稟)이 다른 사람과 달랐다. 세상에 나온 지 불과 8개월 만에 스스로 글을 알았다. 최치운(崔致雲)이 보고서 기이하게 여겨 이름을 ‘시습(時習)’이라고 지어 주었다. 시습은 말은 더디었으나 정신은 놀라워서 글을 보면 입으로 읽지는 못했지만 뜻은 모두 알았다.” 『율곡전서』, ‘김시습전(金時習傳)’

여기에서 최치운이라는 사람이 지어줬다는 ‘시습(時習)’은 유학의 최고 경전인 『논어(論語)』의 첫 구절인 ‘학이시습지(學而時習之)’에서 취한 이름이다. 김시습의 타고난 자질을 보고 유학을 크게 빛낼 대학자가 될 것임을 예견하고 붙여준 이름이다.

김시습은 세 살 때 시를 짓고, 다섯 살 때 『대학(大學)』과 『중용(中庸)』을 통달하는 등 보통의 사람으로서는 이해하기 힘든 천재적 자질과 행적을 숱하게 보여주었다. 이 때문에 사람들이 신동(神童)이라고 극찬했다.

당시 이름 높은 명사(名士)들이 앞 다투어 이 어린 천재를 보기 위해 찾아왔고, 급기야 세종대왕(世宗大王)의 귀에까지 김시습의 명성이 전해졌다.

학문 잘 하는 사람을 누구보다 아끼고 귀하게 여겼던 세종대왕은 김시습을 승정원으로 불러 시(詩)로 시험해 보았다. 그런데 김시습의 시는 빨리 지으면서도 아름다웠다. 김시습의 재주에 탄복한 세종대왕은 크게 칭찬하면서 훗날 나라의 재목으로 크게 쓰겠다는 말까지 했다. 그리고 김시습에게 비단을 하사하고 집으로 돌려보냈다.

“내가 친히 보고 싶지만 세상의 풍속과 이목을 놀라게 할까 염려된다. 마땅히 그 집안에 권하여 재능을 감추어 드러내지 말고 잘 가르치고 기르게 하라. 그의 학업이 성취되기를 기다렸다가 장차 크게 쓸 것이다.” 『율곡전서』, ‘김시습전(金時習傳)’

이때 김시습의 나이 불과 다섯 살이었다. 일찍 핀 꽃이 일찍 지는 것처럼 너무 일찍 세상에 이름이 알려지면 자칫 학업을 소홀히 하거나 헛된 명성을 쫓다 신세를 망치지 않을까 우려했던 세종대왕의 진심어린 충고에도 대궐을 다녀온 이후 김시습의 명성(名聲)은 이미 온 나라에 퍼져 ‘오세(五歲)’라는 별명이 생겨날 정도였다. 김시습의 이름은 몰라도 ‘오세(五歲)’하면 누구나 “아! 그 천재 아이” 하고 알아들었다.

어쨌든 임금의 칭찬과 훗날에 대한 약속까지 들은 김시습은 나라와 백성을 위해 자신의 재주를 펼칠 원대한 뜻을 품고 학업에 힘썼다고 한다.

그러나 ‘운명의 장난’이었을까? 아니면 ‘미인은 박복(薄福)’하다는 속담처럼 ‘천재는 박명(薄命)’한 것이었을까?

김시습이 스물한 살 때 발생한 한 ‘사건’이 천재의 운명을 ‘광인(狂人)의 삶’으로 바꾸어버렸다. 그 사건이란 다름 아닌 수양대군이 어린 조카 단종을 몰아내고 옥좌에 오른 ‘왕위 찬탈 사건’이었다.

당시 삼각산(三角山:북한산)에서 글을 읽다가 이 소식을 들은 김시습은 즉시 방문을 닫아걸고 사흘 동안 바깥으로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그리고 크게 울부짖고 통곡한 다음 읽고 쓰던 서책들을 모조리 불살라 버리고 광기(狂氣)를 일으켜 뒷간에 빠졌다가 도망 나와 곧바로 방랑길에 올랐다.

권력을 빼앗기 위해 자신의 친조카까지 죽인 것도 모자라 나라의 동량과 인재들이 모인 집현전의 학자들까지 몰살한 수양대군(세조)과 그 수하들의 패악(悖惡)에 분개하고 불의(不義)한 권력에 침묵하는 세상에 분노한 김시습은 스스로 사람들과 어울려 살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고 마침내 육신(肉身)에 구애받지 않고 평생 세속 밖을 떠돌아 다녔는데 우리나라 산천(山川)치고 그의 발자취가 닿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였다.

명승지(名勝地)를 만나면 곧 그곳에 자리를 잡아 살고 옛 도회지를 찾아가면 반드시 며칠 동안 발을 구르며 슬픈 노래를 불러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계속>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