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직 월급 3배 오를 때 비정규직은 제자리걸음
상태바
정규직 월급 3배 오를 때 비정규직은 제자리걸음
  • 이성태 기자
  • 승인 2018.10.30 15: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자료=통계청>

비정규직 노동자의 임금은 여전히 정규직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근 3개월(6~8월)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255만8000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2만8000원(5.3%) 증가했다.

이 가운데 정규직은 300만9000원으로 15만8000원(5.5%) 증가했고 비정규직은 164만4000원으로 7만5000원(4.8%) 늘었다.

정규직은 작년 1.9%보다 약 3배 가량 증가해 관련 통계 집계 이후 두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반면 비정규직은 작년 4.7%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임금격차도 136만5000원으로 작년 128만2000원보다 8만3000원 더 벌어졌다.

▲ <자료=통계청>

임금근로자의 임금지불 적용형태는 월급제가 60.9%로 가장 높았으며 연봉제(17.7%), 시급제(8.6%) 순이었다.

이중 정규직 근로자는 월급제(69.9%), 연봉제(22.8%) 등이 92.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비정규직 근로자는 월급제(42.7%), 시급제(20.1%) 순이었다.

임금근로자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36.6시간으로 작년 8월보다 1.5시간 감소했다.

이 가운데 정규직 근로자는 39.3시간으로 1.4시간 감소했고 비정규직 근로자는 31.2시간으로 1.5시간 줄었다.

사회보험 가입률은 임금근로자가 건강보험 75.5%, 국민연금 69.8%, 고용보험 71.6%로 각각 1.3%포인트, 0.7%포인트, 0.4%포인트 상승했다.

그러나 비정규직의 사회보험 가입률은 건강보험 45.9%로 0.6%p 상승한 반면 국민연금은 36.6%로 동일했고 고용보험은 43.6%로 오히려 0.5%포인트 하락했다.

근로복지 수혜율도 임금근로자가 퇴직급여 73.9%(1.3%포인트), 시간외수당 48.1%(0.3%포인트), 유급휴일(휴가) 62.8%(1.6%포인트)로 상승했다. 단 상여금은 70.4%(-0.3%포인트)은 하락했다.

반면 비정규직의 근로복지 수혜율은 시간외수당 24.6%(0.4%포인트), 유급휴일 32.1%(0.4%포인트)은 상승했지만 상여금은 37.8%(-1.3%포인트)로 하락했다.

지난 1년간 직업능력 향상과 개발을 위한 교육·훈련 경험 비율은 임금근로자가 56.5%로 0.1%포인트 하락했다. 정규직 근로자는 62.5%, 비정규직 근로자는 44.3%로 각각 0.1%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임금근로자 중 유연근무제를 활용하는 근로자는 167만5000명, 활용근로자 비중은 8.4%로 작년 8월보다 3.2%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자가 9.2%, 여자는 7.3%로 나타났고 혼인상태별로는 기혼이 8.7%로 미혼(7.5%)보다 1.2%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연령계층별로는 30대가 12.3%로 가장 높았고 40대(9.1%), 50대(7.4%), 15~29세(7.2%) 순으로 높았다.

유연근무제 활용 유형은 시차출퇴근제(33.2%), 선택적 근무시간제(32.3%), 탄력적 근무제(27.3%), 근로시간 단축근무제(15.1%) 순이었다.

유연근무제를 활용하지 않는 임금근로자 중에서 향후 유연근무제를 희망하는 근로자는 38.0%로 나타났고 활용 희망 유형은 선택적 근무시간제(40.2%), 탄력적 근무제(29.6%), 시차출퇴근제(25.1%) 순이었다.

한편 8월 임금근로자는 2004만5000명으로 작년보다 3만9000명(0.2%) 증가했다.

이 가운데 정규직은 1343만1000명(67.0%)으로 3000명(0.0%) 늘었고 비정규직은 661만4000명(33.0%)으로 3만6000명(0.6%) 늘었다.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근로자 비중은 33.0%로 0.1%포인트 상승했다.

비정규직의 성별 비중은 여자가 55.6%로 남자(44.4%)보다 11.2%포인트 높았으며 연령계층별 비중은 60세 이상(24.9%), 50대(21.8%), 40대(19.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비정규직 규모를 산업별로 보면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이 84만6000명(12.8%),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83만7000명(12.7%), 건설업 81만5000명(12.3%) 순이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