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사이니지, 2020년 최대 32조원 생산파급효과
상태바
디지털 사이니지, 2020년 최대 32조원 생산파급효과
  • 이성태 기자
  • 승인 2014.09.22 11: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중공간의 디스플레이 매체인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가 2020년 전산업에서 최대 32조원과 12만명 내외의 생산과 일자리를 유발하는 대규모 파급효과를 가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중 융복합을 특징으로 옥외 광고물에서 스마트 기기로 진화하고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에 대해 체계적인 정책지원과 개념 변화에 걸맞는 제도 정비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22일 산업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산업 전체가 매년 5.5% 성장할 경우 2020년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이 유발하는 산업생산과 고용 규모는 각각 5조9623억원과 2만1622명 수준에 달한다.

그러나 개념 진화와 적용범위 확대에 따른 연 30% 고속성장의 최근 추세를 이어간다면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의 파급효과는 각각 31조6644억원, 11만5008명으로 급증한다.

2012년 현재 파급효과는 3조8850억원, 1만4809명에 달하고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키오스크나 패널, 건물외벽, 홀로그램 등 네트워크와 연결된 디스플레이로 옥내외 대중공간에서 광고를 포함한 각종 정보를 보여주는 디지털 미디어이다.

버스나 지하철, 편의점 입구에 설치돼 광고와 뉴스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부터 쇼핑몰에 서있는 터치스크린의 키오스크, 그리고 형이상학적 동영상을 보여주는 대형빌딩 외벽에 이르기까지 형태도 다양하다.

이 같은 디지털 사이니지의 구현을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및 각종 제어를 위한 하드웨어, 이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와 솔루션, 단방⋅양방 통신을 가능케 하는 네트워크, 이들을 아우르는 시스템통합, 그리고 광고를 포함해 내용이 되는 콘텐츠 등 5개 산업의 결합이 필요하다.

이러한 다면적 융복합 특성으로 인해 본체를 구성하는 전기·전자와 정밀기기뿐만 아니라 화학과 금속의 소재, 소프트웨어와 광고 및 콘텐츠가 포함된 서비스업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높은 파급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10억원 생산 증가가 전산업에서 직간접적으로 유발하는 생산유발액이 34억4000만원에 달하고 고용 역시 자체 산업에서 2.9명, 타 산업에서 9.6명 등 총 12.5명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효과를 보이고 있다. 특히 직접효과에 대한 간접효과의 비율인 간접유발률이 3.3배에 달하고 있다.

초기 디지털 사이니지는 옥외 광고물에 디지털화와 통신이 결합되며 콘텐츠를 원거리에서 전달하는 단방향 노출 방식의 화면에 그쳤다. 그러나 현재는 IT·콘텐츠 기술과의 융합으로 사용자와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매체로 업그레이드돼 사용자 상황에 맞는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능도 광고를 넘어 생활·지리·재난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하게 확대됐다.

나아가 최근에는 여러 스마트 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사용자 인터랙션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강화, 사람-기기-웹 등 외부객체와의 네트워크화, 시청자와 주변을 파악·분석하는 상황인지 및 자율지능, 맞춤형 서비스의 개인화, 가상현실을 응용한 실감화 등이 주요 흐름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를 통해 휴대폰에서 시작된 스마트화를 대중 공간으로 확산시키며 내용이 고차원화되고 적용범위도 급속히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미래에는 미술관·박물관에서 사람 형태의 인공지능 홀로그램이 큐레이터 역할을 하며 관람객과 대화한다든지, 사이니지가 행인이나 군중의 성향·특성을 파악해 맞춤형 광고를 투사하거나 패턴분석을 통해 지하철 등에서 이상행동자를 감별해 냄으로써 범죄나 자해를 방지하는 등 각종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개념 진화와 범위 확대에 따라 주요 리서치 기관들은 4%도 언급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10%~30%대, 높게는 연 50%대까지의 연평균 성장률을 제시하며 고속 성장을 예상하고 있다.

이같은 잠재성과 파급력을 고려할 때 다각적인 측면에서 선제적인 육성책이 필요하다고 산업연구원은 지적했다.

최광훈 부연구위원은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의 다중 융복합 특성에 반해, 소관 정부부처가 지나치게 분산돼 있고 협력도 미흡해 정책 효율성 저하나 시장 참여자들간 혼란이 초래되고 있다”며 “정책 융합 및 체계적 집행을 위해 부처간 역할 분담을 통한 유기적 대응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