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00엔당 원화 환율 800원대 중반까지 하락”
상태바
“내년 100엔당 원화 환율 800원대 중반까지 하락”
  • 김윤태 기자
  • 승인 2014.09.25 16: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년에는 미국 금리인상으로 100엔당 원화 환율이 800원대 중반까지 하락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오정근 아시아금융학회 회장은 25일 한국경제연구원과 공동으로 개최한 ‘추락하는 원·엔환율,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세미나에서 내년 중반부터 시작될 것으로 전망되는 미국 금리인상은 이미 2012년 6월 이후 56%나 절상된 원화의 엔화에 대한 절상을 더욱 가속화시킬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내년에는 100엔당 원화 환율이 800원대 중반까지 하락할 수도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오 회장은 G20회의에서 합의하고 국제통화기금도 인정한 ‘자본이동관리원칙’을 토대로 핫머니 등 무분별한 자본유입에 대한 거시건전성 차원의 규제, 외환시장 교란에 대한 질서 있는 외환시장 개입은 물론 전향적인 금리 환율 정책조합 운용과 불황형 흑자 교정을 위한 내수 진작, 한국의 입장과 정책에 대한 국제적 공감 확대를 위한 국제금융외교 강화 등 다각적이고 전향적인 대책을 시급히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권태신 한국경제연구원 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달러 강세로 엔 약세는 가속화되고 있는 반면 원화는 불황형 경상수지 흑자와 외국인 주식순매수 지속으로 약세전환에 제약을 받음으로써 원·엔 환율이 속락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 결과 수출증가율 급락, 기업영업이익 악화 등 한국경제에 큰 충격 초래하고 있어 과거 유사한 원·엔 환율 하락 이후 위기를 겪었던 1997년 2008년과 같은 위기가 재연될 수도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변양규 한경연 거시경제연구실장은 ‘최근 엔저현상의 배경과 거시경제적 영향’이라는 발표를 통해 2012년 하반기 이후 엔화 약세가 주기적으로 발생해 엔저현상의 장기화에 대한 우려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변 연구실장은 그 배경으로 미국 경기회복 가시화로 미·일 간 금리 격차 확대, ECB의 통화완화정책으로 달러 강세가 지속되면서 엔화의 상대적 약세 지속, 일본의 소비세 인상 이후 경기회복세 둔화로 추가적 확장통화정책 필요성을 지적했다.

이어 내년 엔/달러 평균 환율이 116엔을 기록할 경우 순수출이 감소하면서 경제성장률이 0.27%포인트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투자전략실장은 ‘원·엔 환율 추락 전망 : 엔/달러 130엔 시대 재연하는가?’라는 발표를 통해 미국 통화정책 기조 정상화로 달러는 1970년대 이후 3차 달러 강세국면에 진입하고 있는 반면 일본은행의 추가 양적완화 정책, 일본 경상수지 적자 전환 등으로 엔화는 약세가 가파르게 진행되어 중장기적으로 엔·달러 환율이 140엔 수준까지 상승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원화는 달러화 강세에 편승해 어느 정도 약세 흐름을 보이겠지만 경상수지 흑자기조, 국가신용등급 상향조정, 정부의 내수 부양의지 등 펀더멘탈 요인이 약세폭을 제한하면서 원·100엔 환율은 800원대 수준까지 하락할 여지가 높다고 분석했다.

김기흥 국회입법조사처 경제산업분석실장은 ‘원엔 환율 하락에 따른 영향’이라는 발표를 통해 일본은 과거 엔고로 인해 정체를 나타내고 있던 수출증가율이 엔저에 힘입어 크게 회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반면 한국은 2011년부터 수출 증가세가 정체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한국수출 상위 100대 품목 중 일본수출 상위 100대 품목과 55개 품목이 중복되고 있고 이들 품목 수출이 한국 총수출의 54%를 차지하고 있어 원·엔 환율 하락은 한국경제에 어려움을 초래함은 물론 엔저에 따른 엔캐리트레이드 자금 유입 증가는 한국외환시장의 혼란을 가중시킬 수도 있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강삼모 동국대 교수는 ‘추락하는 원·엔 환율의 영향과 대책’이라는 발표를 통해 원·엔 환율과 원·달러 환율이 한국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은 대략 비슷한데 최근 원·달러 환율보다 원·엔 환율의 절상폭이 훨씬 커서 원·엔 환율의 절상 무역수지에 더 큰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강 교수는 외환시장 불안정을 줄이는 미세개입, 내수진작으로 환율절상을 초래하는 과도한 무역수지 축소, 한국은행 금리 추가 인하, 기술력 확보·수출 시장 다변화·환위험 헷징 및 기업의 노력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