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집값 하락 전망 10명 중 1명도 안 돼…62%가 상승 전망
상태바
하반기 집값 하락 전망 10명 중 1명도 안 돼…62%가 상승 전망
  • 김윤태 기자
  • 승인 2021.06.24 15: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하반기 주택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은 10명 중 1명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24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 1~15일 전국 715명을 대상으로 ‘2021년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만 집값 하락을 전망했다.

이는 부동산114가 2008년부터 관련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낮은 응답 수준이다. 특히 2019년 상반기 32%와 비교하면 큰 폭으로 축소됐다.

반면 응답자 10명 중 6명(62%)는 상승을 선택했다. 올해 상반기(70%)와 비교하면 상승 응답 비중은 다소 줄었지만 과거 조사에서 50% 수준을 넘기 어려웠던 점을 고려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전세 시장 전망 조사는 더 극명하게 응답 비중이 갈렸다. 10명 중 7명(72%)이 상승을 선택했고, 하락 응답은 4%에 그쳤다. 직전 조사에서는 상승 77%, 하락 5%였다.

매매가격 상승에 대한 응답은 서울 등 수도권 아파트가격 상승(42.34%)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상반기 서울과 서울 접근성이 좋은 경기·인천이 시세 상승을 주도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음으로는 서울 등 주요 도심의 공급부족 심화(22.07%) 응답이 높았다. 올해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아파트 입주물량이 크게 줄어들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덜 오른 지역에 대한 풍선효과(11.71%), 선거(대선)를 앞두고 정책 기대 강화(6.53%), GTX 등 광역교통망 개선 기대(4.73%) 등도 주택가격 상승 요인으로 선택됐다.

한편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의 34.62%는 대출금리 인상 가능성을 주요 이유로 답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연 0.5% 수준의 초저금리가 지속되고 있지만 미국에서의 금리인상 가능성과 경제성장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감 등이 커지면서 빠르게 연말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다. 금리인상에 따라 대출이자 부담이 커질 경우 주택시장의 수요 유입을 억제하는 효과가 예상된다.

다음 하락요인으로는 가격부담에 따른 거래부족(28.85%), 대출 규제로 매수세 약화(11.54%), 임대사업자·다주택자 매물 증가(9.62%), 사전청약·공공주택 공급 기대(5.77%) 순으로 답했다.

전세가격이 오른다고 답한 519명 중 23.51%는 서울 등 인기지역의 입주물량 부족 때문이라고 답했다. 매매가격이 상승하는 이유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

특히 전세가격은 거주 수요와 직접 연결돼 있어 주요 지역에서의 물량 축소가 시장 안정에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요인이다.

동일한 응답 비중으로 매수심리 위축으로 전세수요 증가(23.51%) 답변도 높았다. 전국 주요지역 주택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가격 부담감으로 매매시장으로 이동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외에 임대차3법 시행 영향(23.12%), 임대인의 월세 선호로 전세공급 부족(17.73%), 청약(사전청약)을 위한 일시적 전세 거주 증가(7.51%)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세가격 하락 전망을 선택한 경우 높은 전세가로 인한 전세보증금 반환 리스크(46.67%)를 주요 이유로 선택했다. 최근 1년 사이 전세가격이 급등하면서 전세보증보험사가 집주인을 대신해 보증금을 반환하는 사례가 크게 늘었다.

다음으로는 정부의 전월세시장 안전대책 발표 영향(20.00%), 기존주택 매매전환으로 전세수요 감소(20.00%), 갭투자 영향으로 전세매물 증가(13.33%) 등을 전세가격 하락 이유로 선택했다.

소비자 10명 중 3명가량은 대출·세금 등 정부의 부동산 규제 지속 여부(27.41%)를 하반기 주요 변수로 선택했다. 정부가 무주택 실수요자 중심으로 오는 7월부터 LTV 대출 규제를 완화할 예정이고 양도소득세와 종합부동산세의 기준에 대한 상향 논의도 진행중이다. 규제 강화 기조에서 한 발 물러선 상황이다.

그외 주요 변수로는 한국은행 기준금리 움직임(15.24%), 2022년 대선 이슈(13.15%), 국내외 경기회복 속도 등 대외 경제여건(12.59%), 3기신도시 등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12.45%), 전세가격 불안흐름 지속 여부(7.41%) 등을 선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