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청년월세 지원규모 5배 확대…10개월간 월 20만원 지원
상태바
서울시, 청년월세 지원규모 5배 확대…10개월간 월 20만원 지원
  • 김윤태 기자
  • 승인 2021.07.07 12: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가 작년 5000명에게 처음으로 지원한 ‘청년월세’의 지원규모를 올해 5배 이상 확대한다.

서울시는 올 상반기 5000명을 선정해 청년월세를 지원한 데 이어 하반기 2만2000명을 추가 선정할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10개월간 월 20만원이 지원된다.

지난 2일 추가경정예산 179억원도 추가 확보했다.

서울시는 상반기 5000명 선정에 7배 많은 3만6000여명의 청년들이 신청할 정도로 청년월세 정책에 대한 수요가 높았던 만큼 이번에 대상자를 대폭 늘려 정책수요의 적체를 해소하고 청년들의 주거안정을 도모한다는 목표다.

오는 27일 모집 공고를 내고 8월10~19일 서울주거포털(https://housing.seoul.go.kr/)에서 신청 접수를 받을 예정이다.

서울시는 작년에 선정해 실제로 10개월간 청년월세를 지원받은 청년들을 대상으로 첫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체감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한 청년들은 주거(98.7%), 경제(95.6%), 생활(98.7%) 부문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고 응답했다.

지원받은 5000명 중 1707명이 설문에 응답했으며 응답자들의 소득은 141만5000원, 임차보증금은 944만원, 월세는 42만6000원, 금융기관 부채는 284만2000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 도중 서울시내에서 주소 이전한 511명의 주거변화를 분석한 결과 월세는 45만3000원, 임차보증금은 1579만원으로 주소이전 비교 월세는 2만5000원, 보증금은 891만원 상향해 이전한 것으로 파악됐다.

주거 부문에선 응답자의 절반가량인 48.6%가 주거비 부담이 완화됐다고 답했다. 경제 부문에선 68.4%의 청년이 생활하는데 전반적으로 여유를 갖게 된 것을 가장 큰 변화로 꼽았다. 생활 부문에선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갖게 됐다(32.2%)가 가장 높았고 식생활과 생활의 전반적인 면에서 개선을 경험했다(26.9%)가 뒤를 이었다.

청년월세 지원사업 종료 후 월세 충당계획에 대해 청년들은 생활비 절약 또는 저축금액 감소 40.1%, 아르바이트 시작(또는 추가) 17.0%, 모아둔 저축액에서 충당 14.9%, 임차보증금 높이고 월세 줄여 8.1%, 가족·친지 도움 6.8%, 거주조건 하향 6.1%, 기타 순으로 응답했다.

서울시는 올 상반기 청년월세지원 사업에 최종 선정된 5000명 청년들의 현황도 분석해 발표했다.

먼저 성별로는 여성이 56.8%로 많았다. 연령대는 20대 후반(25~29세)이 44.6%로 최다였고 20대는 전체의 76.8%를 차지하고 있다. 직업군은 사무직 24.9%, 무직 22.3%, 학생 19.5%, 판매영업서비스(세일즈맨·미용사·판매원·배달원 등) 15.1%, 전문자유직(예술인·종교인·사회활동가 등) 12.9% 순이었다.

5000명 중 75.3%가 단독·다가구·다세대 주택 등 주택가에 거주하고 있었다. 평균 소득은 111만2000원이었다. 임차면적은 약 19.7㎡, 월세는 39만원, 임차보증금은 828만9000원이고 1000만원 이하가 대다수(86.3%)였다.

이중 반지하 등 주거환경이 열악한 비적정주거지 거주자는 1800명(36.0%)이었고 임차면적의 평균은 17.2㎡(5.2평)으로 나타났다. 청년월세지원 사업 신청자 총 3만5679명 중 비적정주거지에 사는 9636명(27.2%)보다 비율이 18.7% 높았다.

전체 지원자 3만5679명에 대한 현황도 분석했다. 지난해와 유사하게 월세지원 대상자들이 7개 자치구에 53.5%가 거주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작년에 이어 청년밀집지역인 관악구(2020년도 19.2%)에서 가장 많은 인원인 6683명(18.7%)이 신청했다.

광진구 2431명(6.8%), 동작구 2315명(6.5%), 마포구 2089명(5.9%), 강서구 1953명(5.5%), 성북구 1886명(5.3%), 동대문구 1741명(4.9%)가 뒤를 이었다.

연구책임자인 송아영 교수는 “청년월세 지원자는 소득구간(100만원이하, 101~200만원이하, 201만원초과)에 따른 월세·관리비 등 주거비(48만4000~50만7000원) 차이는 크지 않지만 생활비(54만4000~104만8000원) 부문에서는 차이가 커 소득이 낮은 구간에서 주거비 부담이 더 크고 생활비 압박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서울시가 전체 신청자 중에서 설문조사한 결과(응답 1만5918명) 수도권 등 서울 외 지역에서 살다가 서울에서 1인가구로 독립한 비율이 79.0%로 서울에서 살다가 독립한 청년(21.0%)보다 더 많았다. 서울에서 1인 가구로 거주하기 시작한 시기는 평균 23.9세였다.

가족으로부터 경제적 지원을 받는지 여부에 대해 32.6%(5187명)가 지원을 받고 있었다. 현 주거지를 선택한 가장 주된 이유로 경제적인 이유(월세 등) 때문에(49.5%), 학교·직장 등과의 거리가 가까워서 (36.8%) 순으로 꼽았다.

가족으로부터의 경제적 지원은 연령보다는 직업유무에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직은 43.1%, 학생은 약 73.3%, 소득이 100만원 이하인 경우 56.0%가 지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간 지원금액은 응답자(3586명)중 1000만원 초과자가 18.4%에 달했다. 경제적 지원을 받는 항목(복수응답) 1순위로 생활비 등(36.0%), 2순위는 월세(35.3%)이며 월세와 전세보증금(12.8%)을 합산한 주거비로 48.1% 지원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성보 서울시 주택건축본부장은 “코로나 피해 장기화로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이 가중되고 중장년층도 자녀들에 대한 지속적인 주거비 지원으로 부담을 안고 있는 실정”이라며 “서울시가 청년들의 주거 안정과 주거비부담을 낮출 수 있도록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청년 주거실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주거정책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