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1기신도시 주민 83.8%, “거주 아파트 재정비 필요”
상태바
경기도 1기신도시 주민 83.8%, “거주 아파트 재정비 필요”
  • 김윤태 기자
  • 승인 2022.06.09 07: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 1기 신도시 주민 83.8%는 재건축·리모델링 등 거주 아파트의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며 재건축 형태로는 용적률 300% 이하와 21~30층을 가장 선호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지난 3~4월 도내 1기 신도시인 분당·평촌·산본·일산·중동 주민 500세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담은 ‘경기도민은 새로운 1기 신도시를 기대한다’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9일 밝혔다.

경기도는 1980년대 후반부터 1기 신도시 사업이 추진돼 1991~1993년 분당·평촌·산본·일산·중동 등 5곳이 조성됐다. 이들 신도시는 준공 30년이 지나면서 건축물 노후화 등을 겪고 있다. 특히 새 정부가 ‘재건축․리모델링 포함 1기 신도시 재탄생을 위한 종합 재정비 발전방안 마련’을 경기도 지역공약을 제시함에 따라 주목받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도 신도시 주민의 83.8%가 ‘거주 아파트의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신도시별로는 중동 88.6%, 산본 86.7%, 일산 84.1%, 평촌 83.8%, 분당 80.4% 등의 순이다.

재정비 사업 방식 선호도에서는 재건축(48.4%)이 리모델링(35.1%)과 유지보수·관리(16.5%)보다 높게 나왔다. 다만 일산 재건축 46.3%·리모델링 36.8%, 산본 재건축 35.4%·리모델링 44.6%, 중동 재건축 38.7%·리모델링 43.5%, 분당 재건축 51.9%·리모델링 29.6%, 평촌 재건축 67.7%·리모델링 25.8% 등 신도시별 사업 방식 선호도 분포는 차이가 났다.

선호 이유(중복 응답)로 재건축은 자유로운 평면·단지설계(61.6%)와 구조적 안정성 확보(51.7%)를, 리모델링은 사업 기간 단축(72.1%)과 비용 절감·친환경적(71.4%)을 주로 꼽았다.

적절한 사업 시행 시기를 묻는 질문에는 5년 이내가 62.8%(2년 이내 21.2%·2~5년 이내 41.6%)로 가장 많았다. 5~10년 이내는 26.4%, 10년 초과는 10.8%였다.

사업비 부담 의향에는 72.8%가 동의했으며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추가 부담금(일반 분양 수익금 배분 후)의 평균 액수는 1억2800만원이었다.

재건축 시 용적률로는 300% 이하가 47.8%, 층수는 21~30층이 56.2%로 가장 많이 나왔다. 단지 간 통합 정비(80.3%), 국가·정부의 지원(86.7%), 순환형 개발과 재건축 시기 조정 등 주거안정대책(80.8%)도 상당수 동의하며 정책 수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현 거주 상태 관련 조사에서 신도시 주민의 19.4%만이 전반적인 세대 내 환경에 만족했다. 가장 큰 불만족 요소는 주차장(64.2%)과 상하수도 부식(55.0%)을 지목했다. 신도시 주민의 단지 만족도 26.0%에 머물렀는데 주요 원인은 소음 및 진동(64.8%), 단열·방풍(48.6%), 누수·곰팡이(45.0%)였다.

신도시별 지역 개선 사항으로는 일산(56.6%)과 평촌(44.6%)은 도시 간 연결성 강화, 산본(40.0%)과 중동(47.1%)은 거리 녹지 공간 확대 조성, 분당(43.5%)은 기술 기반 도시 운영이 필요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은 1기 신도시 재정비 추진전략으로 저성장, 포스트 코로나, 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을 고려해 장래 도시발전 트렌드를 반영한 신도시 재정비, 유휴 공간‧시설 재활용과 노후시설 재정비하는 성장 체계 구축, 실외 공간과 연결성을 높이는 근무 환경 조성·넓은 주택에 대한 수요를 반영한 주택 면적 확대, 기술과 인류의 공존을 위한 노력 확대·도심에서 외곽으로 이동하는 산업 입지 개편 준비, 여가 활동을 위한 실외 공공 공간 확대와 접근성을 높여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유 공간 확대, 감염병 등 위기 상황에서 커뮤니티 거주민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증진할 수 있는 다양한 녹지 공간 조성 등을 제시했다.

장윤배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국토부에서 기본계획과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경기도는 지자체가 개발 계획에 맞는 단지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행정적·재정적 지원방안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