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화장품 수출실적이 전년 대비 21.3% 상승한 10조5099억원으로 역대 최고를 달성하며 2020년에 이어 세계 3위를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화장품 수출실적 추이. [자료=식품의약품안전처]](/news/photo/202207/59051_70879_3138.png)
국가별 화장품 수출실적은 프랑스(178억5285만 달러), 미국(95억7269만 달러), 한국(91억8357만 달러), 독일(80억6077만 달러), 일본(74억7001만 달러) 순으로 우리나라는 2020년 수출실적 8조2877억원으로 세계 3위를 기록하며 화장품 G3 국가로 자리매김한 후 2021년에도 프랑스·미국에 이어 세계 3위 수출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화장품 수출국은 지난해 153개국으로 중화권 국가(중국·홍콩·대만 등)의 비중(61.3%)이 여전히 높았으며 북미지역(미국·캐나다 등)과 일본지역 비중이 각각 29.5%, 22.4% 증가해 수출증가를 견인했다.
주요 수출국은 중국 48억8171만 달러(53.2%), 미국 8억4104만 달러(9.2%), 일본 7억8412만 달러(8.5%), 홍콩 5억7827만 달러(6.3%) 순이었다.
지난해 화장품 무역수지는 전년 대비 28.6% 증가해 최초로 9조원을 돌파하면서 10년 연속 흑자를 달성했으며 생산실적은 16조6533억원, 수입실적은 1조4937억원으로 각각 9.8%, 11.7% 증가했다.
화장품 무역수지는 2012년 처음 1006억원으로 흑자를 기록한 후 꾸준히 성장세를 유지하며 2020년 7조9억원에 이어 2021년에는 9조161억원을 기록했다.
지나내 화장품 무역수지 흑자는 우리나라 전체 무역수지 흑자 규모(293억692만 달러) 중 25.7%를 차지했으며 비중은 2019년 13.6%, 2020년 14.3%에 이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도 전년 대비 9.8% 증가한 16조6533억원으로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유형별로는 기초화장용 10조1789억원(61.12%), 인체 세정용 1조9905억원(11.95%), 색조 화장용 1조7872억원(10.73%), 두발용 1조7075억원(10.25%) 등 순이었다.
코로나19로 인한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두기로 감소했던 색조 화장용 제품의 생산실적은 6.7% 늘었고 코로나19 영향으로 손 세정제와 같은 인체 세정용 제품류의 생산실적도 2020년에 이어 증가했다.
맞춤형화장품 판매업체 수는 관련 제도가 2020년 3월 세계 최초로 시행된 이후 지난해 전년(112개) 대비 65.2% 증가한 185개로 화장품 산업과 고용시장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화장품 책임판매업체와 제조업체 수도 각각 14.9%, 8.8% 증가했다. 책임판매업체·제조업체 수는 최근 5년간 연평균 각각 22.5%, 21% 증가해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