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기업 4곳 중 3곳, “10년간 해외자원개발 생태계 악화”
상태바
주요 기업 4곳 중 3곳, “10년간 해외자원개발 생태계 악화”
  • 이성태 기자
  • 승인 2022.08.25 12: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계 각국이 선제적인 자원 확보에 집중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기업은 정책 기조의 잦은 변화와 자금 조달 애로 등으로 해외사업개발 관련 사업 기조가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5일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해외자원개발 사업 실적 경험이 있는 주요 29개 기업(응답률 69.0%)의 76.5%는 2011년 대비 2021년 사내 조직과 인력 규모가 감소했다고 답했다.

또한 기업 4곳 중 3곳은 해외자원개발 생태계의 전반적인 여건이 악화(매우 악화 35.0%·다소 악화 40.0%)됐다고 응답해 해당 산업의 활력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전경련]
[자료=전경련]

또한 10년 전과 비교해 기업의 해외사업개발 관련 사업 기조도 3곳 중 2곳이 위축(매우 위축 47.4%·다소 위축 21.1%)됐다고 응답했다.

사업 기조가 위축된 주요 원인에 대해 외부요인으로는 국가 정책 기조의 잦은 변화가 46.2%로 가장 많았고 자원 가격의 변동성 심화(23.0%)가 뒤를 이었다. 내부요인으로는 자금 조달 애로(30.8%)와 해외자원개발에 대한 부정적 전망(30.8%)에 이어 수익성 악화(23.0%)가 꼽혔다.

[자료=전경련]
[자료=전경련]

우리나라 해외자원개발 기업들의 경쟁력도 선진 글로벌기업들과 상당한 격차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선진 글로벌기업을 100이라 가정했을 때 우리나라 기업의 전반적인 해외자원개발 역량은 52.8(응답 평균) 수준이라고 답했다.

이어 해외자원개발 산업 분야의 기술, 제도, 인프라 등 전반적인 경쟁력 수준에 대해서는 기업들의 95.0%가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내 주요국(미국·일본·호주)에 비해 취약(매우 취약 35.0%·약간 취약 60.0%)하다고 응답했다. 글로벌 공급망 분야에서 협력해야 할 주요 국가들과 비교해 경쟁력이 낮은 수준인 것으로 평가됐다.

[자료=전경련]
[자료=전경련]

우리나라 해외자원개발 활성화를 위해 가장 시급한 정책으로는 일관성 있는 정책기조 추진이 32.5%로 가장 많았고 자금지원이 27.5%, 세제지원이 17.5%로 뒤를 이었다. 정책기조의 일관성을 제외하면 주로 자금 분야(융자·보조금·세제) 등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는 “투자회수에 장기간이 소요됨에 따라 자금지원에 대한 절실함이 크다”고 말했다.

기업들은 해외자원개발 사업에 대한 향후 전망에 대해 45.0%(매우 부정적 5.0%·약간 부정적 40.0%)가 부정적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현재와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은 30.0%, 긍정적인 전망은 25.0%(매우 긍정적 5.0%·약간 긍정적 20.0%)였다.

전경련은 미·중 간의 무역 갈등, 우크라이나 사태 등 불안정한 글로벌 환경이 부정적인 전망에 다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해외자원개발은 공급망의 시작이자 토대로 국가 중추 산업임에도 최근 10년간 소홀한 면이 있었다”면서 “세계 각국이 공급망 확보에 나서고 있는 지금이 우리나라도 다시금 해외자원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할 절박한 시기”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