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0.25%p만 올려도 대기업 절반 취약기업 전락
상태바
기준금리 0.25%p만 올려도 대기업 절반 취약기업 전락
  • 이성태 기자
  • 승인 2022.10.04 11: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경련, 매출 1000대 제조기업 재무담당자 대상 자금사정 인식조사

현재 대기업 10곳 중 3~4곳은(37.0%)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감당하기 어려운 취약기업으로 오는 12일 예정된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베이비스텝만 밟아도 대기업 절반(50.0%)이 취약기업이 될 수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4일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 1000대 기업 중 제조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을 대상(100개사 응답)으로 자금사정을 조사한 결과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기준금리 임계치는 평균 2.6%로 나타났다.

전경련은 현재의 기준금리가 2.5%로 한 차례만 더 기준금리를 인상해도 상당수 기업들이 유동성 압박에 노출될 수 있는 상황이라고 해석했다.

[자료=전경련]
[자료=전경련]

기준금리 임계치별 기업비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0% 이하(25.0%), 2.25%(12.0%)로 기업 10곳 중 3곳 이상(37.0%)은 이미 현재 기준금리(2.5%)에서도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은 2.5%(13.0%), 2.75%(9.0%), 3.0%(27.0%) 등으로 조사됐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기준금리 수준으로, 예를 들어 임계치가 2.25%라면 이를 상회하는 기준금리 2.5%부터는 벌어들인 이익으로 이자를 지급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전경련은 이같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은행이 오는 12일 베이비스텝으로 기준금리가 2.75%가 될 경우 대기업 10곳 중 5곳(50.0%)은 취약기업이 되고 빅스텝으로 기준금리가 3.0%가 되면 취약기업 수는 약 6곳(59.0%)으로 늘어난다고 추정했다.

기준금리 인상의 금융비용 영향을 묻는 질문에서 기업들은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인상될 때마다 금융비용이 평균 2.0% 증가한다고 응답했다.

[자료=전경련]
[자료=전경련]

한편 기업들은 기준금리가 올 연말에는 3.0%까지 오르고 내년에는 3.4%까지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구체적으로 올 연말 예상금리는 3.0%대(67.0%), 2.75%(25.0%), 2.5%(8.0%)였고 4.0% 이상 응답은 없었다. 내년 중 예상 기준금리는 3.0%대(81.0%), 4.0% 이상(10.0%), 2.75%(9.0%)으로 나타났고 2.5% 이하 응답은 없었다.

현재 기업들의 자금사정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비슷하거나 악화된 상황이며 연말로 갈수록 자금사정은 더욱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구체적으로 전년 동기와 비교한 현재 기업들의 자금사정은 비슷(57.0%), 악화(28.0%), 호전(15.0%)으로 나타나 악화 응답이 호전 응답의 1.9배였다. 연말로 갈수록 자금사정은 비슷(48.0%)하거나 호전(14.0%)된다는 응답은 감소하고 악화(38.0%)된다는 응답은 증가(10%포인트)하면서 악화가 호전의 2.7배로 늘었다.

기업들은 자금사정이 나빠진 이유로 고금리·고물가·고환율의 3고(高)를 지적했다. 구체적으로는 은행 대출금리 인상(39.0%), 회사채 금리 상승(8.0%) 등 금리 영향(47.0%)이 가장 많았고 원자재 가격 상승(23.0%), 환율 상승(17.0%) 등의 순이었다.

[자료=전경련]
[자료=전경련]

자금사정은 악화되고 있는 반면 기업들의 자금수요는 올해 연말까지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37.0%)이 감소 전망(9.0%)의 4배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금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문은 원자재·부품 매입(36.7%)이 가장 많았고 설비투자(23.0%), 차입금 상환(15.0%), 인건비·관리비(12.3%) 등의 순이었다.

전경련은 이를 두고 기업들이 고물가·고환율이 당분간 지속된다고 예상해 원자재와 부품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으로 풀이했다.

자금조달시 어려움을 묻는 질문에서 기업들은 신규 대출·대출 만기 연장(33.3%), 환율 리스크 관리(22.3%), 신용등급 관리(11.0%) 등을 지적했다.

안정적인 자금 관리를 위해 정책당국에 바라는 과제로는 환율 등 외환시장 변동성 최소화(24.7%), 경제주체의 금융방어력 고려한 금리 인상(20.7%), 공급망 관리 통한 소재·부품 수급 안정화(16.3%), 정책금융 지원 확대(12.7%) 등을 지적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한미 금리가 역전된 상황에서 추가 금리인상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한계상황에 처한 기업들이 상당한 만큼 경제주체들의 금융방어력을 고려한 신중한 금리인상이 요구된다”면서 “이와 더불어 외환시장 안정조치와 정책금융 확대 등으로 금리 인상에 따른 기업부담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