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베스트 아파트 브랜드 1위는 ‘자이’…푸르지오·래미안 2·3위 각축
상태바
올해 베스트 아파트 브랜드 1위는 ‘자이’…푸르지오·래미안 2·3위 각축
  • 김윤태 기자
  • 승인 2022.11.07 11: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베스트 아파트 브랜드로 GS건설 ‘자이’가 2년 연속 1위를 달성했다. 대우건설 ‘푸르지오’와 삼성물산 ‘래미안’은 2·3위 각축을 벌이며 톱3에 안착했다.

7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한국리서치와 공동조사를 통해 지난 10월4~17일 전국 성인남녀 4794명을 대상으로 ‘2022년 베스트 아파트 브랜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GS 자이가 지난해에 이어 종합 1위를 차지했다.

대우건설 푸르지오는 2계단 상승해 2위에 올랐으며 삼성물산 래미안,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롯데건설 롯데캐슬이 뒤를 이었다.

두산건설 위브는 종합순위 9위로 2년 만에 10위권에 재진입했고 2019년 포레나로 론칭한 한화건설은 지난해에 이어 10위에 이름을 올렸다.

베스트 아파트 브랜드 종합대상은 브랜드 상기도와 선호도, 보조인지도, 투자가치, 주거만족도, 건설사 상기도 등 6개 항목의 응답률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아파트 브랜드 가치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산정한다.

올해 조사에서는 자이가 브랜드 상기도, 인지도, 선호도, 투자가치 등 4개 평가 항목에서 1위를 기록했다. GS건설은 포항자이디오션, 원호자이더포레, 양정자이더샵뷰 등이 전 타입 1순위 청약마감에 성공하는 등 안정적인 브랜드 영향력을 보여줬다.

아파트 브랜드 중에서 가장 먼저 떠오르는 브랜드는 묻는 최초 상기도 문항에서는 자이라고 답한 응답률이 전체의 26.5%로 가장 높았다. 이어 푸르지오(22.6%), 래미안(15.7%), 힐스테이트(6.2%), 포레나(3.5%) 순으로 집계됐다.

또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설사를 묻는 질문에는 현대건설이 전체 응답률 중 33.4%를 차지하며 8년 연속 건설회사 상기도 부분에서 1위를 차지했다. 대우건설(15.6%), 삼성물산(12.3%), GS건설(10.3%), 한화건설(3.9%)이 그 뒤를 이었다.

가장 선호하는 아파트 브랜드로는 자이가 22.6%로 가장 높았고 래미안(15.6%), 푸르지오(14.8%), 힐스테이트(8.9%), 롯데캐슬(6.2%) 순으로 나타났다.

종합 순위 2위 자리를 놓고 각축을 벌인 푸르지오와 래미안은 선호도 문항에서도 1% 내의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다만 연령대별 응답률을 분석한 결과 20대와 30대에서는 푸르지오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40~50대 이상 연령층에서는 래미안 선호도가 우위를 보였다.

공인중개사(또는 부동산 중개업 종사자) 96명을 대상으로 별도의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고객에게 추천하고 싶은 아파트 브랜드’로 래미안(62.5%)이 1위로 선정됐다. 이어 힐스테이트(52.1%), 자이(46.9%), 푸르지오(33.3%), 더샵(21.9%) 순으로 집계됐다.

또 ‘중개 거래시 고객들의 만족도가 높은 브랜드’를 붇는 문항에서도 래미안이 56.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이(52.1%), 힐스테이트(43.8%), 푸르지오(31.3%), 롯데캐슬(22.9%)이 그 뒤를 이었다.

아파트 브랜드를 주로 어떤 경로를 통해 알게 되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TV광고(30.7%), 인터넷 등 온라인 광고(26.4%), 현장 또는 견본주택 방문(17.5%), 스마트폰 등 모바일 광고(10.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거래두기 해제 등 단계적 일상회복 이후 대면 활동이 확대됨에 따라 현장 또는 견본주택 방문 응답 비중이 지난해보다 다소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살고 있는 아파트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서는 입지가 좋아서(55.6%)라는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우수한 경관과 쾌적성이 좋아서(37%), 내부 평면 설계가 우수해서(28.9%), 단지 내 편의시설이 편리해서(28.2%), 유명 브랜드 아파트라서(20.4%) 순으로 조사됐다.

입지는 여전히 아파트 선택에 있어 최우선 고려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지난해에 비해 내부 평면 설계, 단지 내 편의시설 등의 응답률이 증가한 것으로 보아 아파트 자체 경쟁력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졌음을 시사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