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한파 내년 더 거세질 듯…1%대 성장률 예상
상태바
경제한파 내년 더 거세질 듯…1%대 성장률 예상
  • 이성태 기자
  • 승인 2022.11.08 11: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경련, 주력산업 재고 상승·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위축

글로벌 통화긴축 영향에 따른 경기침체가 본격화되면서 우리 경제도 성장엔진인 수출동력 약화, 석유화학 등 주력업종의 경기둔화로 성장률이 1%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지난 7일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격랑의 한국경제, 전망과 진단’이라는 주제로 ‘2023년 경제·산업전망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

이날 주제발표를 맡은 조동철 KDI 교수는 “IMF 등 국제기구들이 내년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고 있어 코로나19 이후 수출 위주의 회복세를 보인 한국경제에 좋지 않은 여건”이라며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현재(8월) 2.1%이지만 전망치를 1%대로 낮출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조 교수는 내년도 한국경제 성장률 하향 조정 요인으로 수출 증가세 축소, 가계부채 부실화에 따른 민간소비 둔화를 꼽았다. 수출은 “글로벌 경기 침체의 여파로 증가율이 상당폭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민간소비는 “코로나19 방역완화 등 긍정적 요인이 있지만 가파른 금리 인상에 따른 금융 취약계층들의 한계상황 직면, 주택가격 조정 등 리스크 요인이 크다”고 우려했다.

‘미국 통화긴축에 따른 금리와 환율 전망’에 대한 발제를 맡은 박석길 JP모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내년 초 미국 정책금리 상단은 4.75%, 한국 기준금리는 3.75%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되며 원화 가치는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박 본부장은 “미국이 당분간 통화긴축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한국은행도 미국과의 과도한 금리 차이를 방지하기 위해 11월부터 향후 세 차례의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올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환율과 관련해서는 “주요 교역국의 통화 약세가 지속되고 무역수지의 회복 속도도 더딜 것으로 보여 최소 내년 상반기까지는 원화 가치가 약세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내년 국내 주력 산업의 판도는 1강3중1약으로 전망됐다.

[자료=전경련]

반도체산업은 소비자용 시장수요 부진과 수요처들의 재고 조정 여파로 메모리 가격이 급격히 하락하고 있다. 서버 수요 역시 약세로 전환됨에 따라 올해 4분기부터 강도 높은 재고 조정이 예상된다. 그 영향으로 내년 DRAM과 NAND는 공급업체들이 보수적으로 설비투자를 집행할 것으로 예상되며 DRAM은 2023년 하반기, NAND는 2023년 2분기 중 업황이 바닥을 찍고 돌아설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 2년간 반도체 공급 부족과 누적 대기수요로 자동차 산업은 낮은 재고·인센티브의 수혜를 보았지만 내년에는 자동차 생산이 정상화하는 가운데 소비 위축으로 자동차 수요가 하향 정체함에 따라 재고·인센티브가 상승하고 업종 손익이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한편 내년은 테슬라가 자율주행시스템 HW 4.0 도입과 새로운 인공지능 발전을 예고하는 등 기술 진화의 변곡점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기존 완성차 업계의 올바른 기술 방향 설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내 철강 수요는 자동차 생산 증가와 선박 건조 확대로 자동차·조선의 수요 호조가 기대되는 반면 주택거래 위축과 경기침체 우려로 건설·가전 등의 수요 부진이 예상됐다. 이로 인해 국내 철강 수요는 올해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편 글로벌 철강 수요는 올해 러·우크라이나 전쟁, 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대체적으로 부진했지만 내년에는 중국의 인프라 프로젝트 증가와 부동산 시장의 완만한 회복에 힘입어 소폭 개선될 것으로 기대됐다.

석유화학은 원유, 가스, 석탄 등 에너지 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돼 원가 부담이 높은 가운데 금리 상승에 따른 수요 위축, 중국의 공급 증가가 겹쳐 업계가 삼중고를 겪을 것으로 전망됐다.

조선업은 카타르 LNG 운반선 잔여물량과 모잠비크 프로젝트(대기 중) 등 LNG 운반선 발주에 따른 신조선가 상승이 2분기까지의 실적 개선을 이끌 것으로 기대됐다. 특히 내년 3분기부터는 글로벌 에너지 수요 회복과 중국 정유 공장 가동률 상승에 따른 탱커 발주 재개에 힘입어 호조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기계업종은 러·우크라이나 전쟁발 군비 증강 기조와 건설 수주 증가에 따른 방위산업 및 전력기기 수주 확대가 기대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