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상반기 주요 원자재가격 대부분 하락 전망
상태바
내년 상반기 주요 원자재가격 대부분 하락 전망
  • 이성태 기자
  • 승인 2022.12.09 11: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년은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수요 부진으로 에너지·원자재 가격의 조정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상된 가운데 지정학적 불안의 장기화에 따른 수급 불안과 중국의 경기 회복 시기가 주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증권사 리서치센터장 10명을 대상으로 2023년 반기별 주요 에너지·원자재 기말 가격 전망치를 조사한 결과를 9일 발표했다.

센터장들은 내년 상반기 경기 침체 국면에 진입하면서 천연가스 가격이 소폭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와 공급 위축으로 올해 급등했던 석탄 가격도 내년에는 대체 증산 기대감으로 다소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원유는 전체 산업활동의 필수재로 수요 충격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2023년 상·하반기 가격 추이는 대체로 우상향할 것으로 예상했다.

센터장들의 추정 가격을 산술 평균해 산출한 뉴욕상업거래소(NYMEX) 거래 천연가스의 MMBtu(열량 단위)당 가격은 2022년 11월 말 6.9달러, 2023년 상반기 6.3달러, 2023년 하반기 6.5달러였으며 석탄(국제원자재거래소)의 톤당 가격은 2022년 11월 말 279달러, 2023년 상반기 206달러, 2023년 하반기 202달러로 나타났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의 배럴당 가격은 2022년 11월 말 81달러, 2023년 상반기 82달러, 2023년 하반기 84달러로 전망됐다.

[자료=전경련]
[자료=전경련]

센터장들은 내년 상반기 중 원자재 대부분의 가격 하락을 전망한 가운데 10명 중 6명은 2023년 주목할 핵심 원자재로 가격 강보합세가 전망된 원유를 꼽았다.

우리나라 수입 1위 품목으로 무역 수지에 영향이 크고 정유, 철강, 화학 등 주요 제조업의 원가 구조와 직결되기 때문에 내년에도 원유의 가격 향방이 우리나라 경제 전반에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중동 산유국의 유가 방어 의지가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공급량 제한 정책 등 공급 축소로 연결될 여지가 있는 만큼 변동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영훈 한화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내년에 제한된 공급, 경기 위축에 따른 수요 부진의 두 변수가 충돌하며 유가 변동성이 커질 것이라고 강조하며 내년 전반적으로는 강보합세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철광석·비철금속 예상 가격은 뚜렷한 상저하고 흐름을 나타냈다. 2023년 철광석(다렌상품거래소)의 톤당 가격은 상반기 737위안, 하반기 776위안, 구리(이하 런던금속거래소)의 톤당 가격은 상반기 7817달러, 하반기 8290달러로 전망됐다. 또한 아연 가격은 상반기 2963달러, 하반기 3124달러, 알루미늄은 상반기 2314달러, 하반기 2552달러로 조사됐다. 내년 하반기에는 중국의 코로나 봉쇄 해제 등 불확실한 상황이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자료=전경련]
[자료=전경련]

철강·비철금속 전문가인 김윤상 하이투자증권 기업분석부장은 별도의 서면 인터뷰에서 철광석의 경우 중국이 전 세계 물동량의 70~80%를 점유해 자체 수급 요인보다는 중국의 경기 상황과 전망이 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욱 큰 원자재라고 설명했다. 또한 구리는 전기·전자·통신·건설 등 산업 전반에 폭넓게 사용되는 대표적인 경기 민감 품목으로 하반기 가격 반등은 주요국의 긴축 속도 조절과 하반기 수요 회복 가능성이 긍정적으로 전망되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한편 알루미늄의 경우 공급 과잉 상태이자 중국의 대표적인 탄소 과다 배출 품목인데 환경규제를 명목으로 중국의 생산 제한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이차전지 주요 원료의 경우 내년 상반기는 하락세를 전망했지만 하반기는 품목에 따라 전망이 엇갈렸다. 2차전지 양극재의 핵심 광물인 리튬은 연중 가격 조정세로 예상됐다.

2023년 중국에서 거래되는 탄산리튬(순도 99%)의 톤당 가격은 상반기 53만1183위안, 하반기 51만9296위안으로 약간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우리나라 삼원계(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의 주원료인 니켈·코발트는 수요증가에 힘입어 하반기 중 가격이 소폭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니켈(이하 런던금속거래소) 가격은 상반기 2만4200달러, 하반기 2만4905달러, 코발트는 상반기 5만1178달러, 하반기 5만2633달러로 나타났다.

[자료=전경련]
[자료=전경련]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전기차 시장의 성장으로 리튬 가격도 상승세를 나타냈지만 중국 의존도를 낮추려는 전략적 자원개발이 늘어나 독일, 프랑스, 호주 등의 리튬 상용화를 비롯해 확연한 공급증가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또한 알버말, 티엔치리튬 등 글로벌 리튬 업체의 대규모 신규 물량이 늘어나는 것도 약세 전망의 배경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코로나19 팬데믹의 장기화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유통 차질로 가격이 급등했던 주요 곡물의 경우 내년에는 상대적으로 진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으며 밀가루의 주원료인 소맥의 경우 하반기에 소폭 인상이 전망됐다. 날씨와 식량 보호주의 기조에 따라 가변성은 있지만 작황이 비교적 안정적이고 곡물 최대 소비국인 중국의 사료 수요도 둔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경련은 다만 곡물의 경우 수급과는 별도로 이상 기후 등 구조적인 위기가 진행 중이기 때문에 식량안보의 차원에서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2023년 시카고상품거래소(CBOT) 기준 소맥(밀)의 부셀(1부셀=27.22kg)당 가격은 상반기 794센트, 하반기 809센트, 대두(콩)은 상반기 1405센트, 하반기 1353센트, 옥수수는 상반기 661센트, 하반기 632센트 등으로 조사됐다.

[자료=전경련]
[자료=전경련]

전경련 유환익 산업본부장은 “자원이 부족해 대부분의 원자재를 수입해야 하는 우리나라 특성상 원자재가격 변동은 기업은 물론 민생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면서 “내년에도 경제안보 차원의 불확실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가격 하락 전망과는 별도로 주요 원자재에 대한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