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한국 엥겔지수 상승폭 가장 가팔라…취약계층 부담 가중
상태바
코로나 이후 한국 엥겔지수 상승폭 가장 가팔라…취약계층 부담 가중
  • 이성태 기자
  • 승인 2023.02.16 13: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 이후 한국의 엥겔지수가 주요국에 비해 크게 올라 저소득층의 생활비 부담이 상대적으로 커졌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이 16일 발표한 ‘엥겔지수 국제비교 및 시사점’ 분석에 따르면 주요국별(G5+한국) 엥겔지수 추이를 비교한 결과 한국의 엥겔지수는 코로나 직전이었던 2019년 11.4%에서 2021년 12.8%로 1.4%포인트 상승해 같은 기간 G5 국가 평균(0.9%포인트)보다 가파르게 올랐다.

2019년 대비 2021년 주요국별(G5+한국) 엥겔지수 상승폭은 한국 1.4%포인트, 영국 1.2%포인트, 독일 1.0%포인트, 일본 0.9%포인트, 프랑스 0.8%포인트, 미국 0.4%포인트로 나타나 한국의 엥겔지수가 주요국 중 가장 높았다.

비교대상 국가를 OECD(33개국·데이터가 부재한 칠레·콜롬비아·코스타리카·뉴질랜드·스위스는 제외)로 확대해도 한국의 엥겔지수 상승폭은 33개국 중 8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한경연은 한국 엥겔지수가 주요국에 비해 크게 상승한 이유로 국내 식품물가가 급등한 점을 꼽았다. UN 식량농업기구에 따르면 코로나 이후(2020~2021년) 한국의 식품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연평균 5.2%(2020년 4.4%, 2021년 5.9%)를 기록해 G5 평균(1.7%, 2020년 1.9%, 2021년 1.5%) 대비 3배 이상 높았다.

비교 대상 국가별 연평균 식품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한국 5.2%, 미국 3.5%, 독일 2.8%, 프랑스 1.3%, 일본 0.6%, 영국 0.5% 수준으로 한국의 상승률이 가장 가팔랐다.

OECD와 비교해도 한국의 식품 소비자물가상승률은 33개국 중 4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한경연은 한국의 경우 주요 농산물을 대부분 해외수입에 의존하는 등 식량안보 수준이 낮아 코로나와 같은 글로벌 공급망 충격이 발생할 경우 식품물가가 불안정해질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2022년 기준 한국의 곡물 자급률(곡물 소비량 중 국내 생산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19.4%에 그쳐 주요국(미국·영국·일본·EU주4)+한국) 중 최저 수준이었다. 영국의 이코노미스트 그룹에서 발표하는 식량안보지수 역시 한국의 순위는 2022년 세계 113개국 중 39위에 불과해 G5 국가인 프랑스(4위), 일본(6위), 영국(9위), 미국(13위), 독일(19위)에 비해 식량안보가 취약했다.

한국은 코로나 기간(2019년 4분기~2021년 4분기), 가계 가처분소득 대비 소비지출을 의미하는 평균소비성향이 2019년 4분기 71.2%에서 2021년 4분기 67.3%로 3.9%포인트 감소했다.

한경연은 이처럼 한국 가계소비 자체가 둔화한 것도 엥겔지수 상승을 유발한다고 보았다. 가계는 소비성향이 약화될수록 내구재 등 비필수적 소비를 줄여나가는 만큼 전체소비 중 필수재인 식료품 지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오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가계 가처분소득 대비 식료품 소비지출은 코로나 직전이었던 2019년 4분기 9.9%에서 2021년 4분기 10.7%로 0.8%포인트 상승한 반면 같은 기간 자동차(-0.9%포인트), 의류·신발(-0.4%포인트), 통신장비(-0.2%포인트) 등의 내구재 소비는 감소하였다.

한경연은 식품가격 급등 등으로 엥겔지수가 높아지면 저소득층의 생계가 특히 어려워진다고 진단했다. 가처분소득의 크기가 작은 저소득층은 식료품 지출 비용이 증가하면 가처분소득 중 식료품 구매를 제외한 다른 목적의 소비로 사용가능한 자금(가용자금)의 비율이 고소득층에 비해 더욱 크게 하락한다.

이처럼 식품가격 급등은 저소득층의 식료품 지출 부담 증가는 물론 식료품 외 지출 여력까지도 크게 낮춰 생계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한경연 측의 설명이다.

실제로 코로나19 이후 식료품 지출 비용 상승률(2019년 4분기 대비 2021년 4분기)은 저소득층(1분위 가구 기준 22.6%)이 고소득층(5분위 가구 기준 20.1%)의 1.1배 수준이었지만 식료품비 증가에 따른 가용자금 감소율은 저소득층(5.7%)이 고소득층(1.2%)의 4.8배 수준에 달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생계유지와 직접적으로 연관돼 있는 식품가격이 오를 경우 저소득층의 피해가 커진다”며 “농산물 자급능력 확충, 유통구조 개선 등을 통한 식품물가 상승폭을 최소화해 취약계층의 생활비 부담을 완화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