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호(星湖) 이익④…새로운 학문과 미래 지식으로 가는 나침반
상태바
성호(星湖) 이익④…새로운 학문과 미래 지식으로 가는 나침반
  • 한정주 기자
  • 승인 2015.03.12 08: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호(號), 조선선비의 자존심㉘
▲ 경기도 안산 성호기념관의 이익 흉상.

[한정주=역사평론가] 안정복은 ‘함장록(函丈錄)’이라는 글에서 당시 안산 첨성리 성호 가의 성호장과 육영재에 거처하며 학문을 연구하고 지식을 탐구하며 제자들을 가르친 이익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안정복이 이익을 처음 찾아간 시기는 1746년(영조 22년) 10월17일이었다. 이때 이익은 나이 66세로 비록 재야의 지식인이었지만 이미 대학자로서 큰 명성을 누리고 있었다. 그럼에도 자신보다 서른한 살이나 어린 35세의 젊은 안정복을 마치 벗을 대하듯 친근하면서도 공손하게 맞이했다고 한다.

“나는 어렸을 때 낙향했는데 중간에 몸에 병이 나서 배울 기회를 놓쳤다. 그래서 성호 선생을 찾아가 뵙고 스승으로 모시고 싶은 것이 항상 소원이었다.

나이 26세 때 비로소 무주(茂朱)에서 광주(廣州) 경안면(慶安面) 덕곡(德谷)의 선산 아래로 옮겨와서 우거(寓居)하게 되었지만 가난의 폐해와 질병의 근심으로 항상 편안하지 못했다. 그러다가 병인년(丙寅年: 1746년. 영조 22년) 10월17일 비로소 처음 선생을 찾아가 뵙고 하룻밤을 묵고 돌아왔다.

정묘년(丁卯年: 1747년) 9월20일 다시 찾아가 뵙고 하룻밤을 잔 다음 인사를 올리고 물러나 돌아왔다. 그 다음해인 무진년(戊辰年) 12월14일 또 찾아가 뵙고 하루 동안 머문 다음 16일 작별인사를 드리고 돌아왔다.

이렇게 전후해서 선생께 가르침을 받은 날은 모두 4일 남짓 된다.

그 뒤 신미년(辛未年: 1751년) 7월 선생을 찾아가 병문안을 드렸지만 때마침 종묘(宗廟)의 대향(大享)에 제관(祭官)으로 차출되는 바람에 이튿날 돌아올 수밖에 없었다. 또한 계유년(癸酉年: 1753년) 3월 아산(牙山)에서 올 때 선생을 찾아가 뵙고자 진위(振威)의 주막까지 갔다.

그런데 나와 함께 간 하인이 심하게 병을 앓았다. 그때 흉악한 전염병이 돌아 길을 막았고 하인의 증세 역시 의심스러워서 발길을 돌려 돌아오고 말았다.

그 후로는 한양의 관사(官司)에 있으면서 번다한 나랏일에 시간을 빼앗겨 선생을 찾아뵙지 못했다.

갑술년(甲戌年: 1754년)에 상(喪)을 당해 낙향했지만 그만 병이 들어 폐인이 되다시피 하여 10년 간 문밖출입을 못하게 되었다. 이에 아침저녁으로 선생의 가르침을 받고자 한 계획이 끝내 모두 허사가 되었는데 뜻밖에 선생께서 세상을 떠나시고 말았다. 평생 선생에게 받았던 깊은 사랑을 곰곰이 생각해보면 은혜와 의리가 모두 소중해서 마치 대들보가 꺾여 쓰러지는 듯한 감회가 세월이 가면 갈수록 더욱 절실하다.

그래서 옛 상자를 뒤져 선생을 찾아가 직접 뵙고 묵었던 4일 간의 일록(日錄)을 손에 쥐고 여기에 따로 기록하는 것으로 작은 정성이나마 올린다.

병인년(1746년) 10월16일 집에서 출발해 17일 오후 점염(占剡)에 도착했다. 작은 산자락을 하나 넘자 그 산기슭이 끝나는 지점에 모사(茅舍) 한 채가 있었다. 집 마당에 있던 하인 하나가 찾아온 손님을 보고 앞에까지 와서 절을 하였다. 나는 하인에게 물어보고 그곳이 성호선생의 집이라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말에서 내려 하인에게 선생을 찾아뵙기를 청한다는 말을 알리도록 하였다. 곧바로 안으로 들어오라는 명을 전해왔다. 바깥채는 세 칸으로 앞의 한 칸은 토청(土廳)이고 뒤의 두 칸은 방이었다. 규모가 매우 소박하고 누추했는데, 이곳이 성호선생의 중형(仲兄) 옥동공(玉洞公)이 육영재(六楹齋)라고 명명(命名)하신 곳이다.

▲ <자료=성호기념관>

마침내 방으로 들어가 선생께 절을 올렸다. 선생께서는 일어나 답례를 했는데, 사람을 대하는 모습이 매우 공손하셨다. 눈을 들어 선생의 모습을 바라보았더니 보통 사람보다 키가 크시고 수염이 아름답게 나셨으며 눈빛은 사람의 마음을 헤아리는 듯하였다.

머리에는 당건(唐巾)을 썼는데 검은 명주로 만든 두 가닥 끈이 뒤로 몇 자 남짓 드리워져 있었다. 당건 위에는 포건(布巾)을 겹쳐서 쓰고 계셨는데, 그 까닭은 지나간 5월 선생의 부인께서 돌아가시는 상(喪)을 당했기 때문이었다.

선생께서 예전에 서로 만난 적이 있느냐고 물으시기에 나는 처음 뵌 것이라고 대답하고 드디어 성과 이름을 말씀드렸다.

선생께서는 나의 말을 한참 듣고 계시다가 우리 집안의 일에 대해 말씀하시기를 ‘내가 어렸을 때 일찍이 안전부(安典簿) 어른을 뵌 적이 있네. 그대와는 어떤 관계이신가?’라고 하셨다. 그래서 내가 증조할아버지께서 일찍이 그와 같은 벼슬을 지내셨다고 대답하였다.

선생께서 다시 말씀하시기를 ‘나의 외숙께서 그대의 사촌 대부(大父)인 진사 어르신과 동서(同壻)지간이네. 곧 제 4위(位)인 도동대부(桃洞大父)이시네. 그 때문에 그대 집안을 익히 알고 있는데, 각자 다른 고장에 살다 보니 일체 소식을 듣지 못해 생사존멸(生死存滅)을 서로 전혀 모르고 지냈구만. 우리 무리가 가난하고 피폐하여 산산이 흩어진 형세가 대개 이렇다네.’라고 탄식하셨다.

다시 나에게 무주(茂朱)에서 우거(寓居)하던 일에 대해 물으셨고, 나는 그 본말(本末)을 대강이나마 말씀드렸다.

당시 방 안에는 한 동자(童子)가 있었는데 나이는 15~16세쯤 되어 보였다. 단정하고 기품 있는 사랑스러운 얼굴에 『소학(小學)』을 펼쳐놓고 읽고 있었다. 선생의 손자인가 하여 여쭤보았더니 과연 그러하였다.

아명(兒名)은 여달(如達)이고 신해생(辛亥生: 1731년)으로 만경(萬頃)의 아들이었다. 만경은 이름이 맹휴(孟休)이고 자(字)는 순수(醇叟)인데 계사생(癸巳生: 1713년)이다. 이때 만경현령(萬頃縣令)을 지내다가 모친상을 당해 복중(服中)에 있었던 터라 그 자리에 없었던 것이다.

선생께서 드디어 ‘그대는 어떤 이유로 이곳까지 오셨는가?’라고 물으셨다. 내가 몸을 굽히고 나서 ‘제 나이가 거의 40이 되어갑니다. 그런데 아직도 학문의 방법을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선생님께서 학문의 도(道)를 강론하고 계신 곳이 제가 사는 곳과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고 듣고 있으면서도 선(善)을 향한 정성이 얕아 10년 동안 마음속으로만 우러르다가 오늘에야 비로소 찾아뵈었습니다’라고 대답하였다.

그런데 선생께서는 이에 대해 아무런 말씀이 없으셨다. 다만 즐겁고 편안하게 웃으시며 말씀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전혀 수렴(收斂)하는 태도가 없으셨고 행동거지가 다 법도에 맞았다. 이것을 보고 나는 첫눈에 이분이 선생장자(先生長子)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순암집(順庵集)』, ‘함장록(函丈錄)’

도(道)를 닦는 도사나 승려는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면 말이 없어진다고 한다. 깨달음에 이른 순간 깨달음이란 말로 옮기거나 전해질 수 없다는 것을 깨닫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도(道)의 길은 오직 자득(自得)과 체득(體得)에 있을 뿐이다.

학문과 지식도 마찬가지다. 가르치는 사람이 아무리 많은 것을 전수해주려고 해도 배우는 사람이 담을 수 있는 학문과 지식의 양과 질은 자신이 간직하고 있는 ‘그릇(역량)의 크기와 모양새’ 만큼일 뿐이다.

그래서 이익은 10년 동안 마음에 품고 있다가 하루 반나절이나 걸려 ‘학문의 방법’을 묻고자 자신을 찾아온 안정복에게 아무런 말도 하지 않았던 것이다. 학문과 지식 역시 스스로의 힘으로 얻는 것, 곧 자득과 체득 이외에 다른 길이 없다는 것을 가르쳐 주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익은 하룻밤을 묵고 아침상을 받은 후 집으로 돌아가는 안정복에게 자신이 평생에 걸쳐 깨달은 학문과 지식의 방법을 한 마디 진언(眞言)에 담아 건네준다.

“그대는 나이도 젊고 기력도 튼튼하니 마땅히 지식을 탐구하는데 힘써야 하네. 지식이 밝아진 다음에야 가는 길이 평탄해져 걸리는 것이 없게 되네.”

안정복은 이 한 마디에 자신이 10여년 동안 고민하고 번뇌했던 ‘학문의 방법’에 대한 깨달음을 얻었다.

안정복이 이익을 직접 만나서 가르침을 받은 일수(日數)는 평생에 걸쳐 모두 합해봐야 4일에 지나지 않았다. 더욱이 이익이 세상을 떠나기 전 10여 년 동안에는 단 한 번의 만남도 갖지 못했다. 다만 편지 왕래를 통해 서로의 안부를 묻고 가르침을 주고 배움을 받았을 따름이다.

그럼에도 안정복은 오늘날까지 이익의 학문을 전수한 수제자 중의 한 사람으로 인정받고 있다. 학문과 지식의 도는 많은 말과 가르침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오직 자득과 체득에 있을 뿐이라는 이익의 뜻을 안정복이 잘 알고 실천했기 때문이다.

안정복이 이익의 학풍을 따르면서도 『동사강목(東史綱目)』을 저술해 역사학 방면에서 대가의 반열에 올랐던 것이나 이익이 세상을 떠나기 1년 전인 1862년에 태어난 정약용이 훗날 “나의 큰 꿈은 성호선생을 따라 사숙(私淑)하면서 크게 깨달은 것이다”라고 말했던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이익의 학문과 지식은 제자나 후학(後學)들에게 ‘절대적인 가치나 존재’가 아닌 새로운 생명이 자라나도록 끊임없이 물을 공급해주는 ‘마르지 않는 호수’였을 따름이다.

우암 송시열의 제자나 후학들이 그가 남긴 글과 기록을 절대적인 가치이자 숭배의 대상으로 삼았던 반면 성호 이익를 따른 사람들은 그가 남긴 글과 기록을 새로운 학문과 미래의 지식으로 가는 나침반으로 여겼을 뿐이다.

이러한 까닭에 이익과 그의 제자들로 이루어진 성호학파는 정통 유학에 가까운 경학(經學)과 예학(禮學)에서부터 경제·사회·문화·풍속·역사·문학과 자연과학 및 과학기술에 이르기까지 실로 다양한 방면에서 대가들을 배출했고, 이익의 글과 기록은 현재까지 모든 분야에서 무궁무진한 지식의 보고(寶庫)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한국사 최고의 학자라고 할 수 있는 다산 정약용이 자발적으로 찬문(讚文)을 지어 “참으로 위대하시도다. 참으로 위대하시도다.”라고 거듭 탄복할 정도로 이익이 남긴 학문과 지식의 족적(足跡)은 거대했다.

이 찬문의 시구(詩句)는 현재 경기도 안산시 ‘성호기념관’에 있는 이익의 흉상 바로 뒤에 새겨져 전시되고 있다.

“참으로 위대하시도다! / 참으로 위대하시도다! / 문호(門戶)는 지극히 바르고 / 법도(法度)는 지극히 엄격하시며 / 길은 지극히 가깝고 / 경지는 지극히 깊으시니 /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행할 수 있는 것이나 / 후배들과 학문이 얕은 사람들은 그 경지를 엿볼 수 없네 / 근래 나이 많고 덕을 갖춘 사람들도 모두 진심으로 / 일대의 큰 스승으로 떠받들지 않는 사람이 없으니 / 참으로 위대하시도다! / 참으로 위대하시도다!” <끝>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