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실질임금인상 4년간 제자리걸음…세금·사회보험료는 평균 7.13% 상승
상태바
직장인 실질임금인상 4년간 제자리걸음…세금·사회보험료는 평균 7.13% 상승
  • 이성태 기자
  • 승인 2015.04.03 11: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납세자연맹, “6000만원 직장인의 실질소득은 제자리걸음…세금·사회보험료는 181만원 올라”
 

지난 4년간 명목임금이 물가상승률만큼 올라 실질소득은 늘어나지 않았는데도 세금·사회보험료는 크게 올라 소비 여력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납세자연맹에 따르면 지난 2010년 연봉 6000만원인 직장인 A씨는 4년 연속 물가인상률(4년 평균 2.63% 인상)만큼 연봉이 인상돼 실질임금 인상은 ‘제로(0)’였다.

그러나 같은 기간 근로소득세와 사회보험료는 총 181만1977원(4년 평균인상율 7.13%)이 인상됐다.

납세자연맹에 따르면 기혼 외벌이에 자녀 2명인 A씨의 근로소득세는 4년 동안 101만5600원(4년 평균인상율 12.13%)이 올랐다.

또 국민연금 본인기여금은 21만4200원(4년 평균인상율 2.63%)이, 건강보험료는 41만9668원(4년 평균인상율 5.69%)이, 고용보험료는 16만2509원(4년 평균인상율 12.59%)이 각각 올랐다.

▲ <자료=한국납세자연맹>

연맹은 “임금이 동결되거나 올라도 물가상승률 수준인 경우가 많은데 근로소득세와 사회보험료는 임금상승률보다 더 높은 상승률로 계속 올랐다”고 설명했다.

명목임금은 올랐지만 물가상승률을 뺀 실질임금이 상승되지도 않았는데 정부가 소득이 늘어난 것으로 간주해 세금·사회보험료를 계속 올렸다는 것이다.

A씨의 세금·사회보험료 인상률은 4년 평균 7.13%로 4년 평균 물가상승률(2.63%)보다 2.7배 높아 실질소득을 감소시켜왔다.

우선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한액은 지난 2010년 360만원에서 지난해 408만원으로 48만원 올랐다.

또 같은 기간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 가입자부담액은 2.84%에서 3.19%로 0.35% 올랐고 고용보험료도 0.45%에서 0.65%로 0.2% 인상됐다.

이에 따라 A씨의 실질임금은 동결됐지만 세금과 사회보험료는 4년 동안 총 181만1977원이나 증가했다.

납세자연맹은 가뜩이나 근로소득자가 구조적으로 자본소득자에 비해 불리한 상황에서 이 같은 세금과 사회보험료 증가는 근로대중의 소비감소와 소득불평등 정도를 악화시켜 중산층을 축소시킬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연맹 김선택 회장은 “우리나라 소득세제는 세액공제 전환을 하지 않더라도 명목임금이 오르면 자동적으로 과세표준이 늘고, 그 구간도 상승할 수 있어 항상 누진적 증세가 이뤄지고 있는 셈”이라며 “미국처럼 물가인상분만큼 소득세 인적공제와 과세표준을 자동으로 인상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