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지당(允摯堂) 임씨…조선 유일의 여성 성리학자
상태바
윤지당(允摯堂) 임씨…조선 유일의 여성 성리학자
  • 한정주 기자
  • 승인 2015.04.21 08: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선 선비의 자호(字號) 소사전(73)
▲ 『윤지당유고』중 ‘이기심성설(理氣心性說)’.

[한정주=역사평론가] 조선의 유일한 여성 성리학자다. 그녀가 남긴 저술인 『윤지당유고(允摯堂遺稿)』는 성리학의 근본 문제인 ‘이기심성(理氣心性)’에 대한 이론과 윤리적 수양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을 뿐 시문(詩文)은 단 한 편도 실려 있지 않다.

조선의 여성이 남긴 최초의 철학 서적이 바로 『윤지당유고』이다.

특히 역사학자 현상윤은 그녀의 오빠이자 스승이었던 녹문(鹿門) 임성주를 ‘조선 성리학의 6대가’ 중 한 사람으로 언급하면서 임성주의 녹문학파(鹿門學派)의 계보를 이은 인물로 임윤지당과 동생 임정주를 꼽았다.

그녀의 당호인 ‘윤지당(允摯堂)’의 유래에 대해서는 동생 임정주가 쓴 글에 자세하게 나와 있다.

“윤지당은 어린 시절 중형(仲兄: 임성주)이 그렇게 부른 것이다. 주자가 말한 ‘윤신지(允莘摯)’에서 그 뜻을 취한 것인데 믿음이 깊고 정성스럽게 책임을 다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이때로부터 우리 집안에서는 윤지당이라고 불렀다.”

‘윤신지(允莘摯)’는 태임(太任)과 태사(太姒)를 존경한다는 뜻이다. 여기에서 ‘신(莘)’은 주나라의 시조이자 성군의 상징이 된 문왕(文王)의 부인이자 또 다른 성군의 대명사인 무왕(武王)의 어머니가 되는 태사(太姒)의 고향 마을을 가리키고, ‘지(摯)’는 앞서 신사임당에서 설명했던 문왕의 어머니 태임(太任)의 고향 마을을 일컫는 말이다.

두 사람 모두 가장 이상적인 여성의 모델로 추앙받았던 인물이다.

따라서 ‘윤지당(允摯堂)’은 깊은 믿음과 책임에 정성을 다하는 삶을 통해 모두에게 존경받는 여성이 되라는 오빠이자 스승인 임성주의 특별한 당부의 뜻이 담겨 있는 당호(堂號)라고 하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