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 인테리어 산업은 미래성장동력”…2020년 연간 30조원 규모 시장 ‘방치’
상태바
“항공기 인테리어 산업은 미래성장동력”…2020년 연간 30조원 규모 시장 ‘방치’
  • 이성태 기자
  • 승인 2016.03.28 16: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는 2020년까지 연 30조원 시장으로 성장할 항공기 인테리어 산업이 새로운 미래성장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항공기 인테리어 산업은 항공기에 탑재되는 LCD모니터, 좌석, 창문, 조명 등 각종 실내 기자재를 포괄하는 산업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8일 최근 항공사들이 고객 만족도 향상, 항공기 경량화 등을 위해 투자를 확대하고 있지만 국내에는 기반이 없어 전적으로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면서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좌석, LED조명을 육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전경련에 따르면 싱가포르항공, 독일 루프트한자, UAE 에미레이트 등 세계 주요 항공사들은 최근 A380과 같은 초대형 항공기의 출시로 기내 공간이 증가함에 따라 개별 칸막이가 완비된 좌석, 기내 샤워실 등을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 <자료=전경련>

또한 승객들이 기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 대한 투자도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항공사들의 투자로 2015년 17조원 규모로 추정되는 항공기 인테리어 산업은 매년 12.5%씩 성장해 2020년에는 연간 30조원 규모 시장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항공기 시장 중심이 아시아로 이동하는 것도 기회요인이다.

향후 20년간 항공기 수요는 3만2600대에 달한다. 이중 40%(1만2810대)가 아시아 수요다.

특히 중국은 향후 10년 내 미국을 추월해 세계 1위 항공 시장으로 도약할 전망이다. 이는 기존에 미국과 유럽이 독점하던 항공기 제작과 관련 인테리어 산업 내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항공기 인테리어 산업이 미흡해 빠르게 증가하는 해외 시장을 공략하지 못할 뿐 아니라 국내 수요를 전량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항공의 경우 2005년부터 6년간 49대 항공기에 3900억원 규모의 좌석 업그레이드를 실시했고 아시아나항공도 2006년부터 3년간 약 1000억원을 투자해 ‘오즈 쿼드라 스마티움’이라 불리는 신형 비즈니스석 등을 도입했지만 전적으로 해외 기업에 의존했다.

▲ <자료=전경련>

전경련은 항공기 인테리어 산업 중 우리나라가 잘 할 수 있는 3대 분야로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좌석, LED조명을 제시했다.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은 좌석에 설치된 스크린과 음향 시설을 통해 영화, 음악, 게임 등을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2020년 7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유망한 분야다.

스크린, 컨트롤러 등 다양한 전자기기를 제조하고 이들을 연결하는 역량이 필수인 분야로 현재 일본의 파나소닉이 시장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다.

좌석의 경우 승객의 안전과 편의는 물론 항공사의 매출과도 직결된 분야로 기내 인테리어 산업 중 가장 큰 비중(약 53%)을 차지하는 분야다.

특히 저가항공사의 증가로 향후 가볍고 슬림한 좌석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BMW나 벤츠 등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도 항공기 좌석 산업에 진출할 만큼 타 산업과 시너지가 높은 분야다.

조명은 연료비용과 정비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형광램프에서 LED조명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다.

전경련은 항공기 인테리어 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의 마중물 역할을 강조했다.

항공기 탑재 기자재는 모두 미국연방항공청(FAA), 유럽항공안전청(EASA) 등으로부터 인증을 받아야 하지만 절차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어 중견·중소기업들에게 큰 진입장벽이다.

정부가 국제 인증 절차를 지원해주고 교통안전공단의 자동차 충돌시험처럼 항공기 좌석 내구성 등을 테스트하는 시설을 마련해야 하는 이유다.

또한 전구 제조사 오스람과 출연연구소인 프라운호퍼 등이 공동으로 항공기 LED조명 전문 연구시설을 설립한 독일의 사례를 벤치마킹 할 필요도 있다고 전경련은 지적했다.

추광호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항공기 인테리어 산업은 우리나라가 충분히 잘 할 수 있는 분야로 향후 중국 등 아시아 시장으로 진출하기에도 용이하다”면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정부와 기업들이 함께 공동으로 육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