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VOD 광고시간 늘고 콘텐츠 만족도 감소”
상태바
“유료 VOD 광고시간 늘고 콘텐츠 만족도 감소”
  • 이성태 기자
  • 승인 2023.10.31 11: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IPTV·케이블·위성방송 등 유료방송 서비스의 단계별 이용자 만족도는 향상됐지만 주문형비디오(VOD) 광고 시간과 횟수는 늘어나고 콘텐츠 만족도는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31일 이같은 유료방송서비스 품질평가를 실시하고 결과를 공개했다.

IPTV, MSO, 중소SO, 위성 등 전체 18개 유료방송사업자가 제공하는 유료방송 서비스 단계별 이용자의 만족도 전체 평균은 63.7점으로 전년(61.4점)에 비해 모든 사업자 유형에서 향상됐다.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서비스 단계별로는 설치(70.5점), A/S(70.9점), 변경(65.5점) 단계에서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으며 해지 단계의 만족도(56.4점)가 상대적으로 낮지만 전년(56.3점)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시청 중인 채널을 리모컨으로 변경 시 소요되는 채널 전환시간은 인접·비인접 채널간 전환, TV 해상도간 채널 전환 등을 측정한 결과 채널 전환시간의 전체 평균은 1.42초로 전년(1.48초)에 비해 소폭 개선됐다. 최소시간과 최대시간 간의 차이는 IPTV 2.1초, MSO 1.6초, 중소SO 1.74초, 위성방송 3.26초로 나타났다.

전년 처음 실시한 일부 IPTV사업자가 제공 중인 AI 음성인식 셋톱박스의 기능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는 평균 60.6점으로 전년 58.1점에 비해 개선된 결과를 보였다.

실시간 방송 채널별 음량 수준의 평균과 채널간 음량 차이의 평균을 측정한 결과 전체 사업자 모두 표준 음량기준(-24 LKFS, 허용오차 ±2 dB)을 충족했다. 기준음량 초과비율은 평균 8.7%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8.1%)을 보였다. 한편 개별 채널간 최대 음량 차이는 평균 6.49dB로 전년(7.91dB)에 비해 개선됐다.

이용자 평가단(2476가구)이 각 가정에서 직접 평가한 영상 체감품질은 전체 평균 4.54점(5점 척도)으로 전반적으로 우수한 수준으로 평가됐다.

사업자 유형별로는 IPTV 4.69점, MSO 4.56점이며 중소SO와 위성방송은 4.49점으로 나타났다. 멈춤·깨짐 등 이상 화면 발생 빈도는 편당 평균 0.13회로(100편 시청 시 13회 정도) 전년도(0.16회)에 비해 향상됐다.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유료 VOD 한 편당 평균 광고 횟수는 0.51회, 광고 시간은 12.94초로 전년도(0.45회·11.24초)에 비해 다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IPTV는 광고횟수·시간 모두 감소(0.53회·14.00초→0.48회·11.46초)했지만 MSO는 모두 증가(0.55회·13.11초→0.67회·21.81초)했다.

유·무료 VOD 광고 간 비교할 때 무료VOD 광고는 평균 광고 횟수는 2.19회, 광고 시간은 63.77초로 유료 VOD 대비 4.3배, 4.9배 많이 편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텐츠 만족도는 제공되는 VOD의 다양성, 유료 VOD 비용의 적정성 등 콘텐츠 제공 현황에 대한 이용자의 만족도를 설문 조사한 것으로 각 지표별 평균은 56.8점으로 나타났다.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평가항목 중 장르 내 콘텐츠 영상의 개수가 충분한지를 평가하는 영상 개수 항목은 모든 사업자 유형에서 유료 VOD가 무료 VOD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그러나 유료 VOD 비용 항목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52.1점)를 보였다.

대기모드 상태인 셋톱박스를 켠 후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한 셋톱박스 시작시간은 전체 평균 3.03초로 전년(2.77초) 대비 0.26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IPTV(2.28초→2.02초)를 제외한 SO, 위성방송 사업자들의 시작시간이 다소 늘어난 모습을 보였다. 최소시간과 최대시간 간의 차이는 평균 1.89초로 측정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