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급여 수준·60대 교통접근성…경기연구원, 세대간 직장 선택 시각차
상태바
20대 급여 수준·60대 교통접근성…경기연구원, 세대간 직장 선택 시각차
  • 김윤태 기자
  • 승인 2023.12.28 07: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민은 직장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 20대는 급여 수준을, 60대는 출퇴근 거리·교통 접근성을 각각 지목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지난 8월7~9일 경기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한 ‘경기도 청년층과 고령층, 일자리에 대한 시각차’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8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대상자 중 20대 청년층 응답자(168명)가 직장 선택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급여 수준(43.5%)으로 출퇴근 거리·교통 접근성(19.0%)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와 함께 현재 직장에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불만족스러운 처우(35.9%)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워라밸 확보의 어려움(26.9%), 높은 업무강도(15.4%), 인간관계 어려움(10.3%) 등이 뒤를 이었다. 조사 결과는 청년층에게 급여, 복지 등 처우개선이 중요한 문제임을 보였다.

20대가 생각하는 중소기업 인력난 문제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대기업과의 급여수준 격차(33.9%), 워라밸 보장이 어려운 과도한 근무시간(25.6%), 과도한 업무 요구(12.5%) 순으로 응답해 대기업보다 상대적으로 급여는 낮고 업무량은 과도한 중소기업을 기피하는 현상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근로를 전혀 하지 않으면서 구직 준비 중인 청년은 응답자의 22.0%로, 도내 청년 5명 중 1명은 일을 하지 않고 구직에 전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0대 응답자(165명)는 직장 선택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 출퇴근 거리와 교통 접근성(26.7%), 고용안정성(25.5%), 급여 수준(16.4%)을 꼽았다. 60대는 20대와는 달리 직장 선택시 급여 수준보다 교통 접근성과 고용 안정성을 상대적으로 더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함께 60대 근로자의 63.6%는 앞으로 근로하기를 원하며 희망 근로 연령은 평균 70세로 나타났다. 계속 근로하고 싶어 하는 이유로는 생계유지·생활비 보탬(35.2%), 사회생활 유지나 소속감 충족(34.5%), 일하는 즐거움(26.1%) 등을 꼽았다.

구직과정에서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구직과정에 겪는 노인 근로자 기피 현상(42.4%), 안정적 일자리 부족(29.7%), 낮은 급여 수준(13.9%), 단순반복적 직무(12.7%) 등을 응답했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층이 생활비뿐만 아니라 일하는 즐거움, 소속감 충족을 위해 근로를 원하지만 노인 근로자 기피 현상과 안정적 일자리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해석된다.

연구원은 청년층과 고령층이 원하는 좋은 일자리를 확대하기 위한 정책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먼저 청년층 대상 좋은 일자리 확대를 위해 중소기업 워케이션·원격근무·업무 효율화 등 청년층의 일과 삶의 균형을 확보 지원, 도내 중소기업 성과인센티브 도입 독려로 청년층이 개인의 역량을 발휘하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지원, 통근 거리가 먼 근로자들을 위한 도내 교통 요충지의 ‘(가칭)경기도 중소기업 거점오피스’ 구축, 장기적 관점에서 중소기업 근로조건 개선을 통한 일자리 미스매치 문제 해결 등을 제시했다.

고령층 대상 좋은 일자리 확대를 위한 정책 추진 전략으로는 고학력·고숙련 고령층과 사업 경험이 필요한 중소기업을 매칭하는 중소기업 시니어 멘토링 지원사업 추진, 도내 소셜벤처 스타트업과 연계한 새로운 노인일자리 사업모델 발굴로 저숙련・저학력 고령층 대상 복지형 노인일자리 확충 등을 제시했다.

박진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청년층이 원하는 좋은 일자리를 확대하기 위해 워케이션, 원격근무, 개인별 성과 인센티브 등 청년층이 필요로 하는 처우개선, 일과 삶의 균형 확보 등 복리후생을 강화해야 한다”며 “고학력·고숙련 고령층과 저학력·저숙련 고령층에 각기 적합한 노인일자리 정책 방향을 모색해야 하며 고령층의 경력과 사회적 경험을 살리는 경력형 노인일자리와 저숙련·저학력 고령층을 위한 복지형 노인일자리 모두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