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보다 경력사원”…기업들, 3년차 가장 선호
상태바
“신입보다 경력사원”…기업들, 3년차 가장 선호
  • 심양우 기자
  • 승인 2015.12.02 09: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기업들의 채용 규모를 살펴보면 평균 39:61(신입:경력)로 경력사원을 더 많이 채용하고 있었다.

2일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에 따르면 올해 채용을 진행한 기업 203개사를 대상으로 신입사원 채용을 경력사원 채용으로 대체한 경험을 조사한 결과 43.8%가 대체한 경험이 있었다.

기업에 따라 살펴보면 중소기업(46%), 중견기업(38.5%), 대기업(31.3%) 순이었다.

이외에도 내년 채용 시 84.7%가 신입 대신 경력직 채용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경력직 채용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신입 채용을 경력직으로 대체한 이유로는 당장 실무 처리 가능한 인력이 필요해서(87.6%,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신입은 조기퇴사 등 손실이 커서(24.7%), 경력은 어느 정도 능력이 검증돼서(21.3%), 적은 인원으로 효과를 볼 수 있어서(14.6%), 신규교육 등의 비용을 줄일 수 있어서(10.1%) 등의 이유를 들었다.

경력직으로 대신 채용 시 가장 선호한 연차는 3년차(49.4%)였으며 2년차(25.8%), 5년차 이상(18%), 4년차(3.4%), 1년차(3.4%)가 뒤를 이었다.

채용 방식은 수시(66.3%, 복수응답)로 진행했다는 기업이 가장 많았고 취업포털 인재검색(29.2%), 공채(16.9%), 사내추천(15.7%), 헤드헌팅(13.5%) 등을 활용하고 있었다.

이때 61.8%는 채용 인원수에 변화가 없었지만 계획했던 신입 채용보다 적게 뽑는다는 기업이 33.7%로 4.5%인 많이 뽑는다보다 7.5배나 많았다.

신입 대신 경력 채용으로 대체한 것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스러운 편이라는 응답이 55.1%로 가장 많았으며 보통은 42.7%, 불만족스러운 편은 2.2%였다.

만족하는 부분으로는 업무 이해도(87.8%, 복수응답)를 1순위로 선택했다.

계속해서 조직 적응력(42.9%), 성과(28.6%), 투자대비 효율성(22.4%), 근속의지(12.2%) 등에서 만족하고 있었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신입사원의 경우 채용 후 실제 기업에 기여할 수 있을 때까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기 마련”이라며 “장기적인 불황에 시달리고 있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바로 업무에 투입해 성과를 낼 수 있는 경력직 채용을 선호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