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2차전지 부품 ‘동박’ 제조업체에 투자…중국 왓슨 지분 인수
상태바
SK㈜, 2차전지 부품 ‘동박’ 제조업체에 투자…중국 왓슨 지분 인수
  • 심양우 기자
  • 승인 2018.11.27 17: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글로벌 투자형 지주회사 SK㈜가 세계적으로 급성장 중인 전기차 배터리 핵심부품 업체에 투자한다.

SK㈜는 27일 정기 이사회를 열고 전기차에 쓰이는 2차전지 필수부품인 동박을 제조하는 중국 왓슨 지분 약 2700억원 규모를 인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수로 SK㈜는 중국 1위 동박 제조업체의 2대 주주가 된다.

동박은 배터리 음극재의 지지체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역할을 하는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부품이다. 머리카락 두께의 약 15분의 1 수준의 얇은 구리 호일로 고도의 공정 제어 기술과 설비 경쟁력이 필요하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공급할만한 고품질 동박을 만드는 기업은 전 세계 6곳에 불과하다. 이 중 유일한 중국 업체인 왓슨은 2001년 설립돼 우수한 제품경쟁력과 판매 채널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업공개(IPO)도 계획하고 있어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평가다.

2015년 이후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동박 시장 역시 2025년까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이 예상된다. 전기차 1대당 동박 사용량은 40kg 수준으로 핸드폰의 동박 사용량(4g)의 1만배 가량이 많아 전기차 시장 성장에 따른 동박 수요도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글로벌 동박 업체의 생산 능력을 고려할 때 공급이 수요 증가 속도를 따라 갈 수가 없어 당분간 동박 공급 부족에 따른 가격 상승도 예상된다.

글로벌 대형 배터리 업체들이 앞다퉈 고품질 동박 확보에 나서면서 글로벌 선도 제조사에게 미리 발주하거나 고가의 장기계약을 적극 추진하고 있어 안정적 수익 창출도 가능하다.

왓슨 역시 세계 최대 전기차 배터리 업체인 CATL을 포함한 글로벌 메이저 배터리 업체로부터 지속적인 장기 계약 체결을 요청받고 있다.

왓슨은 지난해 매출 3400억원, 영업이익은 620억원이며 에비타(EBITDA·상각전 영업이익) 마진율이 20%가 넘는 고수익 기업이다.

생산 규모를 올해 3만톤에서 2022년 7만5000톤까지 확대하고 있어 지속적인 이익 증대가 예상된다.

특히 세계 최고 수준의 원가 경쟁력과 품질 수준을 무기로 글로벌 메이저 전기차 업체와 중국 전기차 업체에게 모두 공급하고 있는 유일한 동박 제조사이기도 하다.

SK㈜ 관계자는 “이번 투자를 시작으로 전기차 관련 부품·소재 사업을 확대하는 등 관련 분야를 미래 성장 동력으로 육성할 계획”이라며 “중국의 전기차 시장은 글로벌 전기차 시장 성장의 2배 속도로 성장 중이라 이번 투자를 통해 전기차 시장 성장에 따른 수혜를 직접 누리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