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강소기업, “성장 단계별 맞춤지원책 강화 필요”
상태바
수출 강소기업, “성장 단계별 맞춤지원책 강화 필요”
  • 이성태 기자
  • 승인 2018.01.03 15: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간 수출액이 1000만 달러를 넘는 수출 강소기업들은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3일 발표한 ‘수출 강소기업의 성장전략 및 정책과제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연간 수출액 1000만 달러 이상 수출 강소기업 420개사를 조사한 결과 지원정책의 문제점으로 성장단계별 맞춤지원책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30.7%로 가장 높았다.

자금(금융)·세제지원 부족은 28.3%로 뒤를 이었다.

수출 강소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는 수출규모가 100억~1000억원 미만이거나 수출 비중이 낮은 기업일수록 맞춤형 해외시장정보 제공 강화를 가장 필요로 했다.

또한 수출규모 1000억~2000억원인 기업의 경우 비관세장벽 사전 대비 지원을, 5000억원 이상 기업은 FTA 체결 확대(강화)를 각각 손꼽았다.

이들 수출 강소기업의 42.9%는 자사제품이 글로벌 시장에 진입해 성장기를 거쳐 매출이 둔화되는 성숙기 단계에 있는 것으로 진단해 신제품 개발이 시급함을 보여줬다.

이에 따라 현행 수출제품의 후속제품에 대한 기술개발은 늦어도 1년 전후에 이뤄져야 한다는 응답의 비중이 36.9%로 가장 높았으며 신제품 개발을 위한 자금조달 방법은 자체 보유 자금을 활용한다는 응답이 40.1%를 차지했다.

특히 수출을 시작한지 9년차가 넘어가면 주력상품이 성숙기에 접어들어 신제품 개발을 위한 자금 수요가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수출규모가 크고 매출액 대비 수출 비중이 높은 기업일수록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크고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혁신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조사됐다.

▲ <자료=한국무역협회>

조사대상의 절반가량(47.6%)은 수출 활동으로 최근 일자리가 증가했다고 응답했다.

특히 연간 수출액 5000억원 이상 기업 중 일자리가 늘어난 기업의 비율은 64.3%에 달했으며 매출액 대비 수출 비중은 70~80%인 기업 중 고용이 확대된 기업의 비율이 56.3%로 분석대상 중 가장 높았다.

혁신 활동에 있어서도 응답 기업의 67.1%는 자사의 ICT 융합기술 확보 수준이 낮다고 응답했지만 수출 규모가 100억~300억원인 기업은 19.5%, 1000억~2000억원인 기업은 54.3%, 5000억원 이상인 기업은 71.4%로 수출 규모가 클수록 ICT 융합기술을 확보한 기업의 비율이 높았다.

스마트 팩토리(제조과정 자동화) 운영 기업의 비율은 63.6%로 나타난 가운데 수출액 5000억원 이상은 모든 기업(100.0%)이 스마트 팩토리를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확대를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 응답 기업의 41.9%는 일자리 창출과 고용의 질 제고에 기여한 기업에 대한 세제혜택을 꼽았다.

수출기업의 18.3%는 R&D 등 지원대상 선정시 일자리 우수기업 우대를 희망했으며 일자리 창출 관련 규제개혁(14.0%), 고용창출 우수기업에 대한 정부포상 확대(13.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문병기 무역협회 동향분석실 수석연구원은 “수출 비중이 높은 기업일수록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크고 혁신활동이 활발하다는 점을 감안해 수출지원시스템을 조정개편해 수출의 고용유발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