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 1%P 인상 때 자동차산업 수출타격…반도체·석유제품 수출은 증가”
상태바
“미국 금리 1%P 인상 때 자동차산업 수출타격…반도체·석유제품 수출은 증가”
  • 이성태 기자
  • 승인 2016.03.23 08: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국이 오는 6월 이후 금리인상을 단행할 경우 자동차와 자동차용 엔진·부품 수출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반도체·전자표시장치나 석유제품의 경우에는 전 세계 수출액 증가가 예상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3일 ‘미국 기준금리인상에 따른 한국 제조업의 수출영향 전망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1991~2015년 27개 산업의 총 수출량 분석을 토대로 미국의 기준금리인상이 국내 주요 제조업의 수출제품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소득효과로 총 수출량이 가장 크게 감소하는 3대 산업은 통신·방송장비(-1.11%), 자동차용 엔진·부분품(-1.06%), 영상·음향기기(-0.71%) 등이었다.

소득효과는 미국 통화정책충격이 미국과 전 세계 산출량을 변화시켜 국내 산업별 수출량에 대한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의미한다.

▲ 미국 기준금리 1%포인트 인상에 따른 대세계 수출액 변화.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지난해 수출액을 기준으로 미국 기준금리가 1%포인트 인상될 경우 1차 년도에 자동차용 엔진·부분품 수출액은 2억4500만 달러 감소해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이어 자동차 2억8000만 달러, 기타 제조업 제품 4300만 달러, 섬유사·직물 2100만 달러, 특수 목적용 기계·장비 900만 달러, 가죽제품 900만 달러, 영상·음향기기 400만 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가격효과로 총 수출량이 가장 크게 증가하는 3대 산업은 기초 화학제품(0.41%), 제1차 금속제품(0.39%), 석유제품(0.36%)이었다.

지난해 수출액을 기준으로 미국 기준금리가 1%포인트 인상될 경우 1차 년도에 반도체·전자표시장치 산업이 1억2700만 달러 증가해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다.

또 석유제품 1억1900만 달러, 기초 화학제품 8700만 달러, 합성수지·합성고무 6000만 달러, 펄프·종이제품 1700만 달러이 증가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차경수 부산대 교수는 “금리인상에 따른 소득효과는 충격발생 직후 1년 차에 주로 나타나는 반면 가격효과는 시차를 두고 중장기적으로 나타나 소득효과를 압도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차 교수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수출에 미치는 효과가 산업별로 달라 국내 총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확정적이진 않지만 자동차와 자동차용 엔진·부분품 수출은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선제적 대응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경연은 미국 기준금리 상승이 산업별 대미수출에 미치는 효과는 총수출에 미치는 효과에 비해 크지 않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받는 산업의 숫자도 많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총 수출량의 경우 주로 조립가공산업이 소득효과에 영향을 받았지만 대미수출의 경우 대부분 기초소재산업이 소득효과에 영향을 받아 수출량이 감소된다는 설명이다.

해당 기초소재산업은 기초화학 제품, 플라스틱 제품, 비금속광물제품·제1차 금속제품으로, 그중에서도 비금속광물제품은 1~5차 연도까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수출량 감소가 지속될 수 있다고 보고서는 전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