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분위 공적·사전이전소득 늘고 근로소득 감소…5분위 사업소득 감소폭 역대 최대
상태바
작년 1분위 공적·사전이전소득 늘고 근로소득 감소…5분위 사업소득 감소폭 역대 최대
  • 이성태 기자
  • 승인 2019.12.17 13: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소득 1분위 가구의 근로소득이 줄고 5분위 가구의 사업소득은 역대 최대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통계청·한국은행·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9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의 평균 소득은 5828만원으로 전년 5705만원보다 2.1% 증가했다.

이 가운데 근로소득은 3781만원으로 3.9% 증가한 반면 사업소득은 1177만원으로 5.3% 감소했다. 가구소득 중 근로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64.9%로 1.1%포인트 증가했으며 사업소득의 비중은 20.2%로 1.6%포인트 감소했다.

구간별 가구소득은 1000만∼3000만원 미만에서 24.5%로 가장 높았고 1000만원 미만에서는 8.6%, 1억원 이상에서는 14.8%를 차지했다.

[자료=통계청·한국은행·금융감독원]
[자료=통계청·한국은행·금융감독원]

가구주 연령별로는 30세 미만이거나 60세 이상인 가구는 1000만∼3000만원 미만에서의 가구비중이 가장 높았고 30대인 가구는 3000만∼5000만원 미만에서 가장 높았다. 40대와 50대 가구는 1억원 이상에서 가장 높았다.

가구주가 상용근로자인 가구는 1억원 이상에서의 가구비중이 가장 높았고 임시·일용근로자 가구는 1000만∼3000만원 미만에서 가장 높았으며 자영업자인 가구는 3000만∼5000만원 미만에서의 가구 비율이 가장 높았다.

전년대비 소득 1분위의 소득 증가율은 4.4%로 다른 분위에 비해 증가했으며 소득 5분위 가구의 소득 점유율은 0.2%포인트 감소했다.

소득 5분위별 가구소득은 전반적으로 증가했으며, 특히 소득 1분위 가구의 평균 소득이 1104만원으로 4.4% 증가했다. 소득점유율은 47.2%로 0.2%포인트 감소했다.

가구주 연령대별 소득 증감률은 가구주가 30세 미만(5.3%)에서 높았고 가구주 종사상지위별 소득 증감률은 상용근로자(3.8%), 기타(무직 등)(5.7%) 등에서 높았다.

전년 대비 가구주 연령대별 소득 증감률은 30세 미만 5.3%, 40대 4.5%, 30대 3.9%, 60세이상 3.2%, 50대 1.6% 순으로 나타났다.

가구주 종사상지위별 소득 증감률은 기타(무직 등) 5.7%, 상용근로자 3.8%, 임시·일용근로자 1.8% 순으로 나타났다.

가구주 연령대별 가구의 평균 소득은 40대(7425만원), 50대(7407만원), 30대(5982만원) 가구 순이었으며 30세 미만인 가구는 3720만원으로 가장 적었다.

가구주가 60세 이상인 가구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공적이전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이 20.5%로 가장 높았고 근로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은 42.1%로 낮았다.

가구주 종사상지위별로는 상용근로자 가구(7719만원), 자영업자 가구(6375만원), 임시․일용근로자 가구(3565만원) 순이었다.

소득 5분위별 소득 구성비는 1분위에서는 공적이전소득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소득 2분위 이상에서는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1분위 가구는 전년대비 공적이전소득(11.4%)과 사적이전소득(17.6%)이 증가하고 근로소득은 8.0% 감소했다.

소득 5분위 가구는 전년대비 근로소득(6.3%), 공적이전소득(10.8%) 등이 증가하고 사업소득은 11.7% 감소했다. 5분위 사업소득 감소율은 역대 최대폭이다.

가구의 평균 비소비지출은 1098만원으로 6.2% 증가했으며 세금 354만원(32.2%), 공적연금․사회보험료 338만원(30.8%), 이자비용 194만원(17.6%), 가구간 이전지출 151만원(13.7%) 순으로 지출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